‘메르스 대처’ 섬이라고 방심해선 안된다
‘메르스 대처’ 섬이라고 방심해선 안된다
  • 제주매일
  • 승인 2015.06.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3차 감염자가 국내에서 처음으로 발생하면서 추가 확산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점차 커지고 있다. 3일 현재 국내 메르스 감염 환자는 모두 30명. 이 가운데 2명이 사망했다. 격리 대상자로 지정된 사람도 1400명 가까이 이른다.

이처럼 메르스가 급속히 확산되는 것은 무능하고 뒷북 대응으로 일관한 정부의 위기대처 능력에 기인한다. 지난 2003년 맹위(猛威)를 떨쳤던 ‘사스(SARS)’ 때만 하더라도 우리 정부가 민첩하게 대처해 빛을 발했다.

세계보건기구(WHO)가 ‘사스 예방 모범국’으로 격찬했을 정도다. 그러나 지금은 ‘메르스 민폐국(民弊國)’이란 오명을 뒤집어쓰고 있다.

현 정부의 허술한 방역체계는 곳곳에서 드러난다. 2차 감염자 통제에 구멍이 뚫렸을 뿐만 아니라 사망자 2명도 ‘최초 격리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아직까진 병원에서만 감염이 발생했으나 지역사회로 확산 시엔 통제 불능(不能) 상태에 이를 것이란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제주자치도의 ‘메르스 대처’ 방안도 미덥지 못하긴 마찬가지다. 도는 지난 1일 기존의 방역상황반을 대책본부로 확대하고, 위기대응 체계도 주의단계에서 경계단계로 격상했다. 하지만 내놓은 방안이라곤 입도자에 대한 발열(發熱) 감시 및 체온 측정 등이 고작이다. 이 같은 대책만을 갖고 날로 확산되는 ‘메르스 공포’를 잠재울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특히 도청 일각에선 “섬이라는 특성상 메르스 유입 염려는 안 한다”는 말까지 나돈다고 하니, 그 안이(安易)한 인식에 어처구니가 없을 정도다. 섬이라고 결코 방심해서는 안 된다. 오히려 섬이기에 더욱 총력전을 펼쳐야 한다.

제주는 연간 1200만명이 찾는 관광지다. 하루 유동인구만도 3만명에 달한다. 발병자가 아니더라도 잠복기의 보균자가 유입될 개연성이 아주 높다.

만에 하나 ‘메르스 구멍’이 뚫릴 경우 관광 등 지역경제에 미칠 악(惡)영향은 미루어 짐작하기 조차 어렵다. 제주자치도는 ‘최악의 상황’을 가정한 특단의 대책 마련을 서둘러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