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가 현재 20개소뿐인 ‘지하수 기준수위 관측정(觀測井)’을 우선 32개소로 늘리기로 한 것은 잘하는 일이다.
제주도는 기후 변화로 인한 극심한 가뭄 등 예상 밖의 기상 재앙에 대비하기 위해서 지하수 관측정 증설이 필요하다고 보고 현재보다 12개소가 불어난 32개소로 증설키로 한 것이다.
사실이 그렇다. 앞으로 기후?기상 변화가 어떻게 전개 될지는 학계조차 정확히 예측 할 수가 없다. 만약 장기간의 가뭄재앙이 제주를 강타할 경우 사람은 물론, 동식물 등 모든 생명체들은 우선 갈증에 시달릴 수밖에 없다.
이러한 상황에 예비하기 위해서 ‘관측정’ 증설은 매우 바람직하며, 그렇기 때문에 12개소만을 증설, 32개소로 늘리는 것은 도리어 부족하다는 생각이 든다. 제주지하수의 특수성을 고려 할 때 ‘관측정’은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 32개소보다는 50개소가 좋고, 50개소보다는 100개소가 더 좋다.
제주지하수 고갈 위기를 2050년으로 예측한 30여 년 전의 조사 결과가 있었다. 하지만 그 당시 예측한 2050년 물 소비량보다 지금 물소비량이 엄청나게 증가하고 있으며, 해수면 상승 역시 제주가 세계적인 반면 기후변화로 인한 지하수 함양량은 줄어들 전망이다.
제주지하수 보호를 위해서는 과거 10년 이래의 대량 물 소비 추세를 고려하지 않으면 안 된다. 과거와 달리 지금은 상수도를 통해서든, 직접 관정(管井)을 통해서든 90%이상이 지하수에 의존하고 있다.
하물며 현재 추진되고 있거나 앞으로 추진될 ‘제주 신화역사 공원’ ‘드림타워’ ‘예래 휴양형 주거 단지’ ‘헬스케어 타운’ ‘이호 유원지’ 기타 대형 리조트 단지 등 물밀듯이 밀려오고 있는 외국 자본에 의한 대규모 개발사업의 지하수 소비량을 감안 한다면 바야흐로 제주지하수는 지금부터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고 진단해도 잘못이 아닐 것이다.
제주도는 가급적이면 ‘지하수 기준수위 관측정’을 최대한 늘려야 하며, 앞으로 외국 자본에 의한 대규모 개발 사업 인-허가 과정에서 용수(用水) 문제를 최우선 과제로 다루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