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가 오는 2030년까지 국비 및 민자(民資) 2조4670억 원을 투입, 제주시 탑동에 총 규모 211만3000㎡의 ‘신 해항(新 海港)’을 건설할 계획이라고 한다.
제주도는 현 건입동 제주항이 외항의 수역이 협소해 초대형 크루즈 선박 입·출항에 한계가 있는데다, 내항의 선석 포화로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감안,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신항(新港) 건설이 불가피하다고 판단한 듯하다.
특히 도당국은 여기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제주가 미래 경쟁력 있는 동북아 중심의 국제 해양관광·레저허브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초대형 크루즈 여객선이 자유로이 드나들 수 있는 신항 개발은 꼭 필요하다는 얘기다.
물론 신항 개발은 필요하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211만3000㎡의 바다 매립이 필요하다. 따라서 환경단체와 어업을 생업으로 하는 어민들의 강한 반발이 예상 된다.
설사 환경단체와 어민 반발이 아니더라도, 그리고 미래의 동북아 중심의 해양관광·레저 허브로 도약하는데 도움이 된다 해도 이 시점에서의 신항 개발은 옳지 않다. 차라리 신항 개발 보다는 이미 거론 돼 온 제주~전남 해저고속철 건설이 먼저여야 하며 제주의 백년대계를 위해서도 신항 보다 그게 훨씬 바람직하다.
제주~전남 해저고속철 건설은 이미 5년여 전 김태환 도정 때 두 지역 도지사가 회동, 자치단체가 서로 힘을 합쳐 대정부(對政府) 절충 등 적극적으로 추진키로 공동 선언까지 했던 사업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후 우근민 도정을 거치면서 해저고속철 사업은 제대로 논의조차 해보지 못한 채 유야무야 되고 말았다. 이유는 제주신공항 건설에 지장을 초래할 수도 있다는 우려 때문이었다. 즉 두 마리 토끼를 쫓다가 모두 놓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런 논리라면 그것은 신항 개발도 마찬가지다.
제주~전남 해저고속철이야 말로 동북아 해양관광의 허브를 꿈꾸는 ‘신항’ 정도쯤은 저리가라다. ‘해저고속철’은 북한의 자세 변화에 따라 제주~북한~러시아를 거쳐 유럽대륙까지 뻗어 나갈 수 있는, 그야말로 ‘대 제주건설(大 濟州建設)’의 완결판일 수 있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