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자치도의 ‘고품질감귤 안정생산을 위한 구조혁신’과 관련 도내 20개 농협으로 구성된 (사)제주감귤연합회가 자신들의 입장을 내놨다. 이를 요약하면 큰 그림의 구조혁신은 동의하되, 좀 더 다양한 의견을 수렴해 실행에 옮기라는 것이다.
이들은 지난 21일 임시총회를 열고 논의 끝에 ‘우리의 입장’을 밝혔다. 우선 이번 제주도가 발표한 ‘감귤산업 구조혁신’ 방침엔 일단 동의한다는 것. 그 기저엔 과잉생산에 따른 가격 폭락과 잇단 FTA 등 대내외 환경 변화로 감귤산업이 위기(危機)에 처해 있다는 상황 인식이 깔려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도의 발표 과정에서 다양한 의견 수렴이 이뤄지지 않았다는 부분에 대해서는 앞서 성명을 발표했던 농업인단체 등과 입장을 같이했다. 앞으로 구체적인 실행계획 수립 시 생산농가와 생산자단체(농협), 농업인단체 등의 의견을 적극 수렴해야 한다는 요구였다.
특히 비상품 감귤 수매와 관련해선 단계적으로 시행해 감귤농가의 충격(衝擊)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난해의 경우 가공용을 통해 15만6000t을 소화했는데 향후 이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 구체적인 계획이 없다는 것이다.
이외에도 제주도의 감귤산업 혁신방안엔 섣부르거나 설익은 대목이 많다. 감귤농가 등을 설득하려면 최상의 감귤가격을 지지(支持)할 수 있는 적정생산량은 얼마이고, 이럴 경우 소득 증대로 이어질 수 있다는 믿음을 농가에 줘야 한다. 그런데도 아무런 통계나 지표(指標)도 없이 ‘가공용 수매가 보전 폐지’ 방침만 발표했으니 농가들이 선뜻 받아들일리 만무하다.
그동안 막대한 예산이 감귤산업에 투입됐지만 감귤의 품질 등은 제자리걸음을 면치 못하고 있다. 농가들이 제주도의 구조혁신 방침에 원론적인 공감(共感)을 나타내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따라서 지금이야말로 감귤산업 혁신을 이룰 절호의 기회다. 그렇다고 일방적으로 밀어붙여선 소기의 성과를 거두기 어렵다. 행정이 ‘명분(名分)’을 갖는 대신 농가들엔 ‘실리(實利)’를 줘야 한다. 답은 소통 강화에 있다. 제주 속담에 ‘소 눈이 크다고 해도 의논이 더 크다’는 말도 있지 않은가.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