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농단협 “농업 뿌리 흔들려” 철회 강력 촉구
이르면 연내 발효된 것으로 예상되는 한국과 베트남의 자유무역협정(FTA)에 대한 제주지역 농업인들의 반발이 본격화되고 있다.
베트남은 열대과일과 마늘, 수산물 생산 강국이어서 FTA가 발효돼 수입량이 늘 경우 제주의 1차산업에는 강력한 위협이 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지난 5일 서명한 한·베트남 FTA에서 베트남산 쌀은 아예 개방 대상에서 제외됐고 고추, 양파, 녹차, 오징어 등 민감 농수산물은 추가 시장 개방을 하지 않는다.
그렇지만 열대 과일, 마늘, 생강, 돼지고기 등은 10년 내 철폐, 천연 꿀과 고구마전분 등은 15년 내 개방 품목에 포함됐다.
제주도내 농업인들이 가장 우려하는 부분도 열대과일과 마늘, 돼지고기에 맞춰지고 있다.
제주도농업인단체협의회(회장 문대진, 이하 제주농단협)도 19일 기자회견을 열고 한·베트남 FTA 철회를 강력하게 촉구했다.
제주농단협은 이날 회견에서 “감귤과 경쟁하는 망고가 수입될 경우 제주감귤에 미칠 영향을 뻔하다”고 전제, “특히 베트남은 한국과 인접해 있어서 1차산업 전반에 걸쳐 피해가 불가피하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특히 “지난해 마늘 값이 폭락한 것은 생산량 증가라는 측면도 있지만 수입 마늘이 시중에 유통됐기 때문”이라고 진단하고 “이런 상황에서 베트남산 냉동마늘이 수입돼 국내 유통량이 늘어나면 국내산 마늘값은 더욱 폭락하게 된다”고 지적했다.
제주농단협은 정부의 1차산업 방치에 대해서도 강도높게 비판했다. 이들은 “정부는 제조업, 수출업자들의 이익을 보장해주기 위해 농업을 희생양으로 전락시키고 있다”면서 “제주의 1차산업가 생명산업인 감귤이 무너지면 제주농업의 뿌리가 흔들릴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들은 “정부는 농업인들을 죽음의 굿판으로 내모는 무분별한 시장개방 정책을 중단하고 제주도정과 함께 제주농업을 살릴 근본적인 대책을 내놔야 한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