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귤산업 구조혁신’ 이번엔 믿어도…
‘감귤산업 구조혁신’ 이번엔 믿어도…
  • 제주매일
  • 승인 2015.05.1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주자치도가 14일 제주 감귤산업의 생존 및 발전을 위한 대책을 내놨다. ‘선(先) 자구노력-후(後) 지원’을 원칙으로 한 ‘고품질 감귤 안정생산 구조혁신’ 방침이 바로 그것이다.

 감귤은 관광과 더불어 오랫동안 지역경제를 견인하는 든든한 버팀목이었다. 원희룡 지사도 이날 기자회견을 통해 “감귤은 가난한 시절 한 때 ‘대학나무’로 회자되는 등 꿈과 희망을 주기도 했다”며 “이러한 감귤산업이 지금 매우 어려운 상황에 직면해 있다”고 토로했다.

 이번에 나온 ‘감귤산업 구조혁신 5개년 계획’은 이를 타개하기 위한 고육책(苦肉策)이다. 고품질 안정생산과 수급조절, 과학적 통계 시스템 구축 및 가격 산지주도 등 3개 분야 8개 주요 핵심과제도 마련됐다.

 원 지사는 특히 “감귤의 당도를 높이는 고품질 생산기반 구축과 비상품 감귤의 산지(産地) 퇴출을 강력하게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가공용 감귤 수매 시 1㎏당 50원을 보전해주던 제도를 올해부터 없애고, 그 재원을 고품질 감귤 생산에 투자키로 했다. 중앙부처와 협력해 현재 타당성 용역 중인 ‘감귤거래소’ 시범사업도 추진해 나갈 방침이다.

 그러나 이 같은 구상이 계획대로 시행되기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도가 밝힌 것처럼 ‘선 자구노력-후 지원’은 농가들의 자발적 참여를 전제로 한다. 즉 감귤원 정비명령제와 병행한 표준과원 조성 의무화, 품종갱신 및 신품종 재입식 등에 농가가 얼마나 동참하느냐에 따라 계획의 성패(成敗)가 달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렇다면 생산자들의 참여를 적극 끌어들이는 ‘유인책’이 있어야 하는데 눈에 확 들어오는 것이 없다.

 더욱이 가공용감귤 수매가 보전 전격 폐지와 관련해선 농가들의 반발이 예상된다. 지난해의 경우 가공용을 통해 15만6000t이 처리됐는데, 앞으로 이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도 의문이다.

 감귤산업 구조혁신의 관건(關鍵)은 농가들의 의식개혁이다. 그럼 점에서 도가 내세운 ‘선 자구노력-후 지원’이란 원칙이나 방향도 옳다. 하지만 구조혁신엔 공감하면서도 실천에 이르러선 흐지부지된 게 그간의 경험이다. 일방적인 정책 추진에 앞서 제주도가 생산자단체 등과 머리를 맞대 현실성 있는 실천 전략을 찾아내길 주문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