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의료계도 기자회견
제주지역 시민사회단체에 이어 제주도의약단체협의회도 제주헬스케어타운에 들어서는 것으로 계획된 ‘녹지국제병원’ 설립을 반대하는 등 반발 여론이 확산되고 있다.
특히 녹지국제병원이 국내 병·의원의 우회적 영리병원 설립 통로라는 주장이 제기된 데 이어 영리병원을 반대하는 움직임이 더욱 거세지면서 향후 상당한 진통이 예상된다.
11일 제주도의약단체협의회에 따르면 12일 오후 1시 제주도의회 도민의 방에서 녹지그룹의 녹지국제병원 설립을 반대하는 기자회견을 갖는다.
제주도의약단체협의회는 제주도의사회를 비롯해 치과의사회·한의사회·약사회·간호사회 등 5개 의약단체로 구성돼 있다.
이에 앞서 지난 7일 의료민영화저지범국민운동본부는 청와대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녹지국제병원의 설립 중단을 촉구했다.
이들은 녹지국제병원의 실체가 국내 성형외과 의사들이 외국에 세운 영리병원이 병원 운영자가 돼 한국으로 다시 들어오는 형태라고 지적한 점을 강조하며 정부와 제주도가 서울리거병원이 녹지병원의 실질적 운영 주체가 아니라는 것을 증명할 것을 주문했다.
의료영리화 저지와 의료공공성 강화를 위한 제주도민운동본부도 지난달 28일 제주대병원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제주대병원이 영리병원 응급의료 MOU를 체결한 것은 국민의 신뢰를 저버리는 행위라며 파기를 요구했다.
이는 제주대병원과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JDC), 그린랜드헬스케어주식회사가 지난 1월 30일 ‘제주헬스케어타운 의료 서비스 수준 향상 및 도내 의료관광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기 때문이다.
이들은 기자회견을 통해 “지난해 싼얼병원이 제주 영리병원 설립 승인을 받지 못한 주요 이유 중 하나가 응급의료 MOU를 체결하지 못했기 때문”이라며 “제주대병원이 영리병원 도입에 중요 요인을 충족시켜준 것”이라고 비난했다.
지난달 27일에는 의료민영화·영리화 저지와 의료공공성 강화를 위한 범국민운동본부는 녹지국제병원이 외국인 병원이 아니라 국내 병원들이 국내 영리병원을 만드는 우회적 영리병원 설립 통로라는 주장을 제기해 파장이 일기도 했다.
영리병원을 둘러싼 논란이 다시 불붙고 있는 가운데 많은 논란이 됐던 ‘싼얼병원’ 설립 신청에 대해 불승인 결정을 내린 바 있는 보건복지부가 녹지국제병원에 대해 어떤 결정을 내릴 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