道, 옛 탐라대 부지 매입 ‘가시화’
道, 옛 탐라대 부지 매입 ‘가시화’
  • 박민호 기자
  • 승인 2015.05.04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매입검토 공문 동원학원 전달
도민사회 일부 부정적 시각
공론화 과정에서 진통 예상
▲ 제주도가 동원교육학원측에 옛 탐라대 부지 매입 검토 공문을 전달, 매입 절차에 착수했다. 사진은옛 탐라대학교 부지. <제주매일 DB>

제주특별자치도가 제주국제대의 ‘옛 탐라대부지 매입 요청’에 긍정적인 입장을 내비쳤다.

제주도는 4일 ‘부지 매입을 위한 도민 공론화 과정과, 제주특별자치도의 공유재산심의 등 관련 절차를 이행하면서 매입을 검토하겠다’는 취지의 공문을 제주국제대학교 학교법인인 동원교육학원 측에 전달했다.

제주도의 이 같은 결정은 지난달 24일 동원교육학원 측에 보낸 ‘산남·북 균형발전과 지역현안 해결을 위해 제주도가 매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공문의 답신으로 도민공론화 과정과 도의회 심의 등의 부대 의견을 달았지만, 원희룡 제주도지사가 밝힌 ‘교육용 부지에 공적인 대안마련’을 위한 사전 작업으로 풀이된다.

앞서 원 지사는 지난달 15일 제329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 도정 질문에서 “국제대가 예산문제로 옛 탐라대 부지를 매각하려 하고 있고, 최근 중국자본에게 넘어갈 위기에 처했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기 때문에 이 부지를 제주도가 매입, 비축토지로 전환해야 한다”는 질문에 매입 의사를 피력한 바 있다.

이 자리에서 원 지사는 “최근 외부(중국)자본에 의한 토지 잠식의 우려가 있기 때문에 제주도가 공적인 대안을 마련할 수 있다면 적극 검토할 용의가 있다”며 옛 탐라대 부지매입 의지가 있음을 시사했다.

하지만 도민사회 일각에선 “제주국제대(옛 산업정보대·탐라대) 파행 운영이 김동권 전 학장의 185억원대 교비횡령 사건으로 촉발됐기 때문에 도민 혈세로 이를 보전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는 부정적 시각이 있는 만큼, 향후 도민 공론화 과정에서 적잖은 진통도 예상된다.

한편, 동원교육학원은 삼일회계법인에 위탁해 처분금액 417억원 상당의 옛 탐라대 부지 31만2217㎡와 본관, 학생회관, 기숙사 등 건물 11동을 대상으로 지난해 9월 22일부터 11월 4일까지 공개경쟁입찰을 진행했지만 최종 유찰됐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제주사람 2015-05-07 16:19:07
제주도가 탐라대부지 매입검토는 기사에서 지적하듯이 비리재단에게 면좌부 주는 골이고, 비리재단복귀 빌미를 주는 것이지요. 고충석 총장과 현한수 이사장은 제주국제대학이 환골탈태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 그리고 비리재단 복귀가 될 경우 제주국제대가 어디로 갈 것인지를 곰곰히 따져봐야 할 것 같네요. 제주국제대가 새롭게 태어난기를 기대하는 관점에서 비리재단 멍에부터 없애야 도민으로부터 신뢰 받을 수 있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