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지역 가계부채(家計負債) 증가세가 가파르게 이어지고 있다. 한국은행 제주본부 자료에 의하면 올해 2월말 기준 도내 가계대출 잔액은 모두 6조3378억원. 지난해 말 6조2097억원과 비교해 무려 1281억원이 증가했다.
가계대출이 급증하는 이면엔 여러 가지 요인이 있다. 먼저 주택담보인정비율 완화에 따른 신규 주택대출 수요가 발생했다. 최근 들어 인구 유입 등으로 인한 주택거래 증가와 잇따른 금리(金利) 인하 등도 가계대출을 부추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주택담보대출의 경우 2월말 현재 2조5233억원으로 작년 말에 비해 971억원이 증가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56억원이나 늘어난 것이다. 올해 전체 가계대출 증가분의 75.8%가 주택담보대출인 셈이다.
여기엔 단기적인 경제 활성화를 위해 ‘무리수’로 일관하는 정부의 책임이 크다. 금리 인하로 이자 부담이 줄어든 만큼 서민들은 대출 유혹(誘惑)에 빠질 수밖에 없다. 지난해 은행 대출을 통해 늘어난 우리나라 전체 가계 빚이 39조원에 달해 사상 최대 증가폭을 기록한 것은 이를 입증하고도 남는다.
가장 큰 문제는 부채 증가로 ‘가계발(發) 신용경색’ 등 빨간불이 켜졌지만 이를 해소할 ‘청신호’가 안 보인다는 점이다. 가계부채를 줄이려면 소득이 증가해야 한다. 그러나 실질임금은 거의 정체된 상태나 마찬가지다.
이런 상황에서 향후 이자 부담이 늘면 가계살림은 더욱 어려워질 게 뻔하다. 가계 빚이 ‘우리 경제의 폭탄(爆彈)’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그래서 나온다. 제주지역의 경우도 ‘미친 부동산’이라 할 만큼 거품이 잔뜩 끼어 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를 감안 않고 시류에 편승해서는 개인은 물론 지역경제까지 휘청거릴 수 있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