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광에 두 번 당할 가능성조차 안된다
㈜보광에 두 번 당할 가능성조차 안된다
  • 제주매일
  • 승인 2015.03.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보광제주는 ㈜보광이 제주도 개발을 위해 만든 자회사다. 그런데 국내 굴지의 대기업과 그 자회사가 제주도에서 여론의 질타를 받고 있다. 지역 개발 회사가 지역에서 욕을 먹고 있다면 이유는 뻔하다. 행태가 ‘반제주적(反濟州的)’이라는 얘기다. 그것도 한 번에 그친 것이 아니라 호시탐탐하는 모습이어서 도민들의 공분을 사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보광제주는 당초 2003년부터 2011년말까지 성산읍 신양리 섭지코지 일대 65만3851m² 부지에 각종 해양관광시설을 만들겠다고 발표했다. 제주도는 ‘계획을 믿고’ 2006년8월 보광제주에게 국공유지(도유지) 15만7971m²를 매각했다.

그러나 보광은 계획과 달리 콘도와 빌라형 콘도 등 숙박시설 위주로만 투자를 했다. 그리곤 지난해 3월 국공유지 2만9228m²가 포함된 미개발 토지 3만7829m²를 중국계인 오삼코리아에 되팔아 46억여원의 시체차익을 챙겨버렸다. 당연히 ‘땅 장사’ 논란과 함께 큰 비난이 일었다.

보광제주는 2008년 투자진흥지구 지정과 함께 취·등록세와 재산세 등 74억원을 감면받기도 했다. 제도적 혜택을 받았으면 약속을 지켜야 하는데 제도적 ‘구멍’을 통해 잇속만 챙기는 모습에서 대기업의 도덕성마저 의심받고 있다.

특히 보광제주는 최근 성산포해양관광단지 투자진흥지구 변경안을 제출, 눈총을 사고 있다. 오삼코리아에 매각한 면적과 비슷한 토지 3만7850m²를 매입하겠다는 데, 국공유지 2만5200m²가 포함돼 있기 때문이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제주특별자치도의 방침이다. 보광제주의 투자진흥지구변경안을 심의보류한 데 이어  ‘불허’ 방침을 공표했다. ‘깨어있는’ 제주도에 적극적인 지지를 보낸다. 제주도 개발이 조금 더디어 지고, 심지어 차질을 빚더라도 ‘땅장사 전과’가 있는 기업은 특별 관리해야 함을 강조한다. 두 번 당할 가능성조차 만들지 말아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