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희룡 제주지사가 향후 대규모 개발사업의 기준 및 원칙을 제시했다. 우선 제주의 미래가치와 맞아야 하고, 다음으론 친환경적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지역과 상생(相生) 조건을 갖추도록 앞으로 정책적으로 유도하고 관리해 나갈 방침임을 피력했다.
23일 도청에서 열린 ‘신화역사공원 조성사업 도민이익 증대를 위한 개발사업 시행승인 조건 관리 TF’팀 회의는 이 같은 의지를 재확인한 자리였다. 이날 원 지사는 신화역사공원 건축허가 부대조건(附帶條件)의 충실한 실행을 힘주어 강조했다.
신화역사공원 사업 승인 조건은 △고용계획 인원의 80% 이상 도민 직접 고용(5200명) △지역 건설업체 50% 이상 참여 △지역 농수축산물 계약 재배 및 장기 공급 △인재양성 프로그램 운영 △주민과 상생협의체 운영 등이다.
원희룡 지사는 “사업자의 자세에 문제가 있거나 약속을 지키지 않으려는 움직임이 포착되면 (언제든지) 허가(許可)를 취소할 수 있다”고 못을 박았다. 사업 시행승인 당시 약속한 부분이 제대로 이행되는지를 지속적으로 확인하고 잘못이 있다면 곧바로 후속조치를 취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다.
신화역사공원 개발은 (주)람정제주개발이 서귀포시 안덕면 서광리 251만9000여㎡에 복합리조트인 ‘리조트월드 제주’를 조성하는 사업. 지난달 12일 기공식을 갖고 본격적인 공사가 진행 중인데 오는 2018년까지 총 사업비 1조8000억원이 투입된다. 그러나 지역업체 참여 등을 놓고 벌써부터 잡음(雜音)이 일고 있다.
대규모 개발사업과 관련 지금 제주는 전환기적(轉換期的) 시점에 접어들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제주시 노형로터리에 추진되는 초고층빌딩 ‘드림타워’ 사업의 건축허가 여부가 이번 주 판가름 난다. 또 예래휴양형주거단지 사업은 ‘토지 강제수용 패소(敗訴)’란 암초를 만나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 원희룡 제주도정의 개발사업 대원칙 및 실천 의지가 시험대에 오른 셈이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