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 4·3사건에 대한 입장차로 오랜기간 갈등을 빚었던 4·3희생자유족회와 주도재향경우회가
‘화해와 상생을’을 화두로 4·3교육에 공동으로 참여할지 주목된다.
경우회는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이 18일 제주시 미래컨벤션센터에서 개최한 4·3평화·인권교육 관련 간담회에서 명예교사 위촉을 공식 요구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이석문 도교육감, 유족회 및 경우회 임원, 제주도 재향경우회 임원, 4·3평화교육위원회 위원 등 50여명이 참석, 4·3평화·인권교육 방안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정문현 제주4·3희생자유족회장은 “희생자유족 10명을 명예교사로 선정한다고 했는데 학생들의 학습 수준이 높은 상태에서 유족들이 어수룩하게 교육을 하면 웃음거리나 되지 않을까 걱정”이라고 4·3교육에 의욕을 나타냈다.
오정희 유족회 부녀회장은 “모 인사들이 평화공원을 폭도공원이라고 하는 등 미움과 갈등을 부추기는 말을 하는 경우가 있다”며 “이런 분위기를 그대로 덮어두고 명분만생각한다면 어두운 미래가 오기 때문에 화합의 분위기를 조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현창하 제주도재향경우회 회장은 “경우회도 4·3사건 당시 경험을 토대로 증언이 가능한 분들이 있기 때문에 1~2명 정도는 명예교사로 위촉해주길 바란다”고 요구했다.
양조훈 도교육청 4·3평화교육위원장은 “진상보고서는 4·3특별법이 규정한 목적과 절차에 따라 희생자 중심으로 작성됐다”며 “불행한 역사에 대해서는 기초적인 것만 가르치고, 제주도민들이 역사를 어떻게 딛고 일어나 화해와 상생에 이르렀는지를 중점 교육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제주4·3사건으로 수십년 동안 등을 돌리고 살아온 경우회와 희생자유족회는 2013년 8월 ‘화해와 상생’을 선언, 이후 각종 행사에 공동으로 참여하고 있다.
양 단체는 19일 도의회 도민의방에서 박근혜 대통령의 4·3추념식 참석을 요청하는 공동 기자회견을 갖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