道, 곶자왈재단 조사결과 흐지부지 말라
道, 곶자왈재단 조사결과 흐지부지 말라
  • 제주매일
  • 승인 2015.03.1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주도가 ‘곶자왈재단’의 각종 부조리를 밝혀내고도 사후 조치를 취하지 않은 채 흐지부지 되고 있다고 한다. 도대체 그 이면에 무슨 사연이 숨어 있기에 그러는지 도민들은 궁금해 하고 있다.

곶자왈재단의 부조리가 드러난 것은 민원에 의해서였다. 이 민원은 지난해 10월 도감사위에 접수됐는데 주요 내용은 곶자왈재단 차량의 사용화(私用化), 회계비리, 상임이사와 감사의 기용 등에 대한 것이었다.

그러나 도감사위는 곶자왈재단은 자신들의 직접 감사 대상이 아니어서 이 민원을 제주도 환경자산보전과로 이첩해 조사토록 했다.

제주도의 조사결과 민원  내용은 거의 사실로 확인 됐다. 곶자왈재단 소속 차량의 운행 일지 및 출장신청서의 관리 부실, 회계 증빙서류의 작성 미비, 상임이사 겸직 등을 밝혀내고 조사결과 보고서를 도감사위에 제출 했다.

따라서 감사위는 제주도 환경정책과에 대해서는 곶자왈재단 정관 중 상임이사에 대한 구체적인 자격기준 마련을, 그리고 환경자산보전과에 대해서는 민간 위탁금 및 도의 운영비 지원금에 대한 증빙서류 작성과 관리 지도를 철저히 하도록 지시했다.

하지만 곶자왈재단의 부조리에 대한 제주도의 조사 결과 조치는 이것으로 끝이었다. 조사결과를 감사위에 보고하고, 그에 따른 지시를 받았을 뿐, 막상 당사자인 곶자왈재단에 대해서는 아무런 조처도 취하지 않았다. 관련자에 대한 징계나 시정조치는 물론 심지어 조사결과까지 통보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특히 책임 떠넘기기는 더욱 가관이다. 제주도 관계자는 “조사결과를 감사위에서 곶자왈재단으로 보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며 떠 넘겼고, 도의 전-현직 관계자들은 서로 책임 회피식 태도를 보이고 있다.

이런 식이면 민원인~감사위~제주도로 이어진 곶자왈재단에 대한 조사는 흐지부지 될 수도 있다. 왜 그런가. 그 배경이 무엇인지를 밝혀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