곶자왈공유화재단이 출범(出帆)한 것은 지난 2007년이었다. ‘제주생태계의 허파’라는 곶자왈의 중요성을 깊이 인식한 결과였다. 당초 재단은 ‘곶자왈 한 평 사기 운동’을 세계적인 환경보전 공공신탁 모델로 만들겠다는 야심찬 계획을 발표했다. 오는 2016년까지 사유(私有)곶자왈 200만평을 매입하겠다며 이를 위해 360억원을 모금하겠다고도 밝혔다.
그러나 8년이 흐른 지금 기대했던 성과는 커녕 각종 잡음만 불러 일으키고 있다. 10일 열린 제주도의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서도 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이경용 의원(새누리당)은 이날 작심한 듯 곶자왈공유화재단의 편법(便法) 운영을 일일이 지적했다.
이 의원은 먼저 기존 RV(레저용 다인승 차량) 관용차를 세단인 그랜저 차량으로 변경하면서 3500만원(리스비)의 예산을 지원한 것을 따져 물었다. 제주도가 지원 근거로 제시한 지방자치법에는 민간단체인 재단에 차량을 지원할 수 있는 조항이 없는데도 편법으로 지원하고 있다는 것이다.
해당 차량이 재단의 연구 및 조사가 아니라 이사장 개인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점, 그리고 주행거리를 과도하게 늘려 유류비(油類費)를 부풀린 의혹도 제기됐다. 제주도내 택시의 하루 평균 주행거리는 350㎞ 내외다. 그런데도 재단 차량은 하루 최대 424㎞, 또 43㎞ 거리인 도의회를 방문하며 291㎞를 운행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경용 의원이 차량 지원근거와 유류비 과다사용 등에 관해 정식 감사를 요청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이 같은 지적과 질타는 유명무실(有名無實)한 재단에 대한 반성 촉구에 다름 아니다. 곶자왈재단이 이를 겸허하게 받아들여 심기일전의 계기로 삼았으면 한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아무도 안보니깐 제주매일 뜨고싶나? 이건 언론이 아니다.
세상에 정직한 사람들이 없을것 같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