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슷한 성격의 첨단산업단지가 도 따로, JDC(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따로 추진되면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난립(亂立)에 따른 유치경쟁과 함께 자칫 애물단지로 전락할 가능성도 엿보이기 때문이다.
제주자치도는 제주시 도남동 일원 16만3535㎡에 ‘제주도시첨단산업단지’를 조성할 계획이다. 국토교통부가 추진하는 도시첨단산업단지 2차 사업 일환으로, 소프트웨어 개발 등 IT 중심의 게임산업 및 지식산업 집적(集積)단지가 목표다. 준공 예정시기는 오는 2018년이다.
이와는 별도로 JDC도 제주시 월평동 제1첨단과학기술단지 인근 85만5403㎡ 부지에 제2첨단과학기술단지를 추진하고 있다. 2021년 준공 목표로 사업비 1400억원이 투입된다. 유치 업종은 IT(정보기술)를 비롯해 BT(생명공학기술)와 CT(문화창조콘텐츠)가 망라된다.
그러나 예상되는 문제가 한 둘이 아니다. 우선 같은 지역(제주시)에 유사한 성격의 산업단지가 들어섬으로써 힘이 분산된다. 유치 목표 업종 또한 겹친다. 이는 필연적으로 효율성 저하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특히 유치 경쟁에서 밀리는 곳은 ‘애물단지’로 전락(轉落)할 우려가 크다.
도와 JDC는 도시첨단산업단지엔 소규모 부지를 원하는 업체를 유치하고, 제2첨단과기단지는 넓은 부지가 필요한 업체를 유치하면 된다고 말한다. 기업 유치에 문제가 없을 것이라며 자신이 있다는 투다.
하지만 신성장(新成長) 동력산업 육성을 위한 핵심시설이라고 호들갑을 떨던 ‘제주벤처마루’를 보자. 193억원이란 예산을 투입했으나 5년여가 흐른 지금 ‘무늬만 벤처지구’로 전락했다. 벤처마루 입주업체 26개 중 벤처기업은 고작 4개에 불과한 게 오늘의 현실이다.
더욱이 도남동에 추진 중인 도시첨단산업단지의 경우 사업 예정지 토지주들이 강력 반발하고 나섰다. 이들은 대책위를 구성하고 “토지주와 협의 없이 추진하는 산업단지는 무효”라며 “제주도는 사업추진을 당장 중단하라”고 요구중이다.
이번 산업단지 조성은 둘 다 국토교통부와 긴밀하게 연계되어 있다. 효율성이나 중복투자 등 제반 문제점을 전혀 고려하지 않는 관계당국에 묻고 싶다. 피 같은 국민의 세금을 이렇게 함부로 펑펑 써도 되는 것인가. 국토교통부와 제주자치도 등이 머리를 맞대 현실에 맞는 해법(解法)을 찾아야 한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