까다로운 지침 타학교 눈치
현지 상품가격 상승도 원인
지난해 4월 발생한 세월호 참사로 인한 안전불감증에 대한 우려감이 가시지 않으면서 수학여행 수요가 회복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4일 제주도관광협회에 따르면 이날 현재까지 파악된 제주 수학여행 예약률은 2013년(50만 8946명) 대비 약 30% 수준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는 각급학교에서 까다로운 수학여행 지침 등으로 타 학교의 눈치를 보며 구체적인 일정을 잡지 못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되고 있다.
지역별로는 영·호남지역보다는 상대적으로 경기와 서울 등 수도권 지역에서의 여파가 더욱 오래갈 전망이다.
여행업계 관계자는 “서울·경기지역은 ‘수학여행’이라는 단어 사용을 꺼리며 ‘소규모·테마형 교육여행’이라는 용어를 쓰고 있다”며 “‘수학여행은 제주’ ‘교육여행은 근거리 지역’이라는 공식이 깨지고 있다”고 귀띔했다.
이에 따라 수도권지역인 경우 상당수 학교가 소규모로 나눠 주변지역을 돌아보는 여행일정을 진행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지역특성상 선박과 항공을 동시에 이용하는 영호남지역인 경우에도 선박에 대한 안전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가 여전한 상황이라, 수요회복 여부가 불투명한 상황이다.
이처럼 육지부 학교가 쉽게 일정을 잡지 못하는 것은 수학여행 준비절차가 복잡하고 안전요원 비용 등 제주 현지 상품가격이 상승한 것도 하나의 원인으로 풀이된다.
소규모·테마형인 경우 자율적으로 실시토록 하고 있지만 대규모 수학여행단(5학급·150명 이상)인 경우 학생·학부모 동의절차와 안전요원 학보(50명당 1명), 안전대책 및 교육적 효과 등에 대한 점검 후 적합한 경우에만 실시토록 안전기준을 강화했기 때문이다.
제주도관광협회 관계자는 “여행업계 동향을 파악한 결과 상반기 보다는 하반기에 수요가 집중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현재로서는 전체 수요를 예측하기 힘들다”며 “수요회복을 위해 안전요원 지원 등을 검토해 나가면서 지속적으로 유치활동을 전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제주도관광협회는 수학여행 등 현장체험학습을 진행하는데 있어 안전요원 배치가 의무화됨에 따라 지난해 관광사업체 종사자 등을 대상으로 ‘현장체험학습 안전과정’교육을 실시, 모두 427명의 안전요원을 배출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