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비전 용역은 知事 공약실천用?
미래비전 용역은 知事 공약실천用?
  • 제주매일
  • 승인 2015.03.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민선6기 원희룡 제주도정이 역점 추진하는 ‘제주미래비전 수립 용역’과 관련 도의원들의 질타가 이어지고 있다. 의원들의 주장을 한마디로 요약하면 “제주의 미래비전이라기 보다는 도지사 공약실천 연구용역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김희현 의원은 “이번 용역의 6개 분야 66개 예시과제 중 도지사 공약이 무려 74%(49개)에 달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최상위 미래비전 수립을 위한 가이드라인 제시 등의 명분을 내세우고 있지만 원 지사의 공약(公約) 실천을 위한 용역이라는 주장이다.

 국제자유도시종합계획에 대한 고민이 없다는 지적도 나왔다. 김경학 의원은 “국제자유도시종합계획 16개 분야 중 11개가 빠져있다”고 밝혔다. “더욱이 구체적이지 않은 추상적이고 모호한 구상 뿐으로, 결국 도정(道政)이 바뀌면 이 용역 또한 폐기될 것”이라고 질타했다.

 연구진들이 도시건축 및 건설 중심의 편향된 인물들로 구성돼 제주의 미래비전을 다루는데 한계가 있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실제로 자문위원 8명 중 5명, 실무위원 5명 중 3명이 건축·건설 분야 전공자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인적 구성으론 균형(均衡) 잡힌 종합계획 수립은 기대할 수 없다는 게 대다수 의원들의 지적이다.

 당초 제주미래비전 용역은 국제자유도시종합계획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차원에서 구상됐다. 기존의 계획이 경제성장 전략을 중심으로 이뤄졌기에 새로운 방향성(方向性) 정립이 필요하다는 판단에서다. 도의회가 17억원이란 거액의 용역비를 수용한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그러나 현재 진행되는 용역을 보면 전체를 포괄하는 것이라기 보다는 도시계획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다. ‘미래비전이 아니라 도지사 공약실천용이 아니냐’는 비판도 그래서 나온다. 이런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선 용역 전반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 특히 미래비전 용역엔 원희룡 지사가 슬로건으로 내건 ‘제주의 자연과 사람, 문화의 가치를 키우는’ 철학(哲學)이 담겨져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