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력·장비 부족해…수거 ‘한계’
제주도내 오름·곶자왈 등을 중심으로 국내·외 생태탐방 관광객이 증가하면서 폐기물 투기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생활권 지역을 중심으로 폐기물 수거가 이뤄지다보니 중산간지역의 폐기물은 근본적으로 수거되지 않아 이에 대한 대책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는 2일 오전 도청 회의실에서 원희룡 지사 주재로 ‘생활쓰레기 처리시스템 획기적 개선방안’ 등을 주재로 도정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토론회에서 도 생활환경관리과는 오름과 곶자왈 등을 중심으로 생태탐방 관광객이 증가하면서 폐기물 투기사례가 급증하고, 주민의식 등의 결여로 인해 가구 등 대형 생활폐기물 신고제(수수료 부담)를 기피하여 중산지역에 불법투기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고 현실태를 보고했다.
또 사업장 일반폐기물과 폐가전 제품 등이 야간을 틈타 중산간지역에 불법으로 버려지고, 수거·보상되지 않는 농자재도 농경지 인근에 방치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처럼 중산간지역에 폐기물 불법투기가 발생하고 있지만 수량 등 정확한 수치는 없는 상태이며, 근본적인 수거는 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청소인력 및 장비의 부족으로 중산간지역 폐기물 수거는 투기신고에 의존해 처리되는 등 행정의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원 지사는 이달 중 중산간지역의 불법투기 예비비를 투입해서라도 대대적으로 수거하라고 주문했다.
도 관계자는 “예비비 3억원을 투입해 3월 한달 간 범도민 중산간지역 일제 대청결 운동을 전개해 대대적인 폐기물 수거에 나설 계획”이라고 전했다.
한편 도는 지난해 행정시에 1억1500만원의 예산을 투입해 중산간지역 폐기물 785톤을 수거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