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귀포시가 혈세를 투자해 보행로 구조 개선에 나서고 있지만 일부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는 곳이 있어 눈총을 사고 있다.
특히 보행자의 안전을 위해 설치했다는 보행로가 오히려 보행 흐름을 방해하는 물체로 가득해 행정편의주의에 기인한 전형적인 탁상행정이라는 지적마저 사고 있다.
2일 서귀포시 동홍동에 위치한 옛 서귀포시교육청.
이곳은 2010년 5월부터 수년 동안 건물 활용이 되지 않는 등 우범지대로 전락할 우려를 낳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는 곳이다.
특히 건물 북쪽 도로의 경우 건물 주위의 담으로 인해 인도와 차도의 구분이 없어 보행자의 안전사고 위험이 우려된다는 목소리가 나왔었다.
서귀포시는 그동안 건물 주위를 둘러쌓던 북쪽 담을 허물고 보행로를 설치할 계획을 마련했다.
보행로는 동홍동 주민숙원사업으로 지난해 1480만원을 들여 약 70m 구간 보행로 개설 공사를 착수, 지난해 말 완공했다.
하지만 2개월여가 지난 지금, 도로가 차도와 인도로 구분이 됐을 뿐 주민이 제대로 이용할 수 없는 보행로로 만들어져 혈세만 낭비되는 꼴을 보이고 있다.
실제로 담을 허물어서 만든 보행로에는 기존 가로수가 보행로 중간에 위치하거나 건물과 주차장을 나눈 울타리가 보행로를 막고 있어 지역 주민 등은 이용을 꺼리고 있다.
심지어 유모차는 물론 휠체어도 쉽게 통행할 수 없어 오히려 지나다니는 데 불편을 초래하고 있었다.
이 때문에 혈세를 들인 보행로가 ‘사용하지 못하는 보행로’로 전락하고 있다는 지적에서 벗어나기 힘들어 보인다.
이에 대해 서귀포시 관계자는 “이곳 인도 설치는 지역 현안을 해소하기 위해 사업비를 별도로 편성해 추진한 것”이라며 “인도가 일부 교육청 재산과 맞물려 있어 부득이하게 가로수를 이전하지 못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