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체적 不實 드러나는 재선충병 방제
총체적 不實 드러나는 재선충병 방제
  • 제주매일
  • 승인 2015.02.0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소나무 재선충병 방제가 ‘총체적인 부실(不實)’이었다는 사실이 속속 드러나고 있다. 정확한 원인 규명도 없이 주먹구구식으로 방제가 이뤄졌는가 하면 빗나간 예측이 재선충병을 더욱 확산시켰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이 와중에 수억원의 부당 이득을 챙긴 비리(非理)마저 끼어 있었다니 실로 어처구니가 없을 정도다. 경찰 수사에 의해 그 전모가 서서히 드러나고 있는 가운데 관련 업체에 이어 공직사회로 수사가 확대되고 있어 향후 큰 파장이 예상된다.

 비리 의혹을 받고 있는 H업체는 2013년 10월부터 2014년 4월까지 이뤄진 제1차 소나무 재선충병 방제사업에 참여했다. 방제활동 지역은 제주시 연동과 도평 등 5개 사업지구였다. 이 업체가 당초 제주도와 체결한 방제 물량은 1만4786그루다. 사업비만 10억7000만원에 이른다.

 그러나 전수조사(全數調査) 결과 계약 물량 중 3181 그루가 모자란 1만1605 그루만 제거한 의혹을 받고 있다. 특히 도평 사업장의 경우 계약 물량보다 37% 가량 모자랐다. H업체는 작업 물량을 속이기 위해 소나무에 부착되는 GPS를 조작하거나 투입 인력을 부풀린 것으로 경찰은 보고 있다.

 이를 통해 얻은 부당 이득만 2억5000만원에서 3억원 상당. 문제는 각 사업지구마다 감독 공무원이 3명씩 배치되어 있었는데도 이 같은 비리가 저질러졌다는 점이다. 경찰이 공직사회로 수사를 확대하고 있는 이유다.

 소나무 재선충병 방제는 ‘전쟁(戰爭)’으로 선포할 만큼 지역의 중차대한 사안이었다. 1차 방제사업에만 무려 450억원이란 막대한 혈세가 투입됐으며, 이 과정에 아까운 인명 피해도 발생했다. 이런 상황에도 불구 다른 한쪽에선 낯 뜨거운 비리가 있었다. 발본색원(拔本塞源)의 경찰 수사를 기대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