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정 해군기지의 농성 천막 철거 행정대집행과 관련 ‘원희룡 지사의 리더십’이 도마 위에 올랐다. 현재로선 긍정보다 부정적인 측면이 강하다. 이로 인해 제주도정의 위상(位相) 또한 크게 흔들리고 있다.
강정마을회 등은 2일 기자회견을 갖고 “국방부와 해군, 경찰 그리고 동원된 용역이 이번 행정대집행 과정에서 보여준 것은 국가공권력의 이름으로 자행된 야만(野蠻)과 폭력(暴力) 뿐이었다”고 규탄했다. 이들은 “행정대집행 과정에서 제주도정이 보여준 태도 역시 매우 실망스러운 것이었다”며 원희룡 지사도 정면 겨냥했다. “제주도민인 강정주민들이 용역 등에 짓밟히는데도 갈등 중재는 커녕 남의 일처럼 수수방관하는 모습만 보였다”고 개탄하기도 했다.
사실인즉 그렇다. 그 야만의 현장엔, 그 폭압(暴壓)의 현장엔, 원희룡 지사도 그 누구도 없었다. ‘일본에 출장 중’이었다는 말은 핑계에 불과하다. 행정대집행은 이미 예고됐었고, 큰 불상사가 일어날 것임은 충분히 예견된 일이었다. 그런데도 원 지사는 일본행을 택했다.
이번 행정대집행은 해군을 포함한 국방부가 얼마나 오만방자하고 ‘불통(不通)의 세력’인지를 적나라하게 드러낸 사례다. 주민동의를 전제로 군 관사 문제를 해결하겠다던 해군 측의 약속은 또다시 거짓말이 됐다. 이를 담보했던 원희룡 지사의 말도 허언(虛言)이 되고 말았다.
조경철 강정마을회장은 “제주도가 제안한 ‘해군기지 진상규명과 정신건강실태조사’는 물 건너갔다”고 단언(斷言)했다. 주민들도 “우리는 절대 포기하지 않고 더 견고한 망루를 쌓고 더 많은 사람이 연행되고 더 많은 희생을 감수하고서라도 끝까지 싸워 나갈 것”이라며 굳은 의지를 다지고 있다. 이 지경에까지 이른 ‘강정의 현실’은 과연 누구의 책임인가.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