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에서 청동기시대 암각화(巖刻畵)가 약 12년만에 또 다시 발견됐다.
울산대 반구대암각화유적보존연구소는 지난 달 22일 제주시 애월읍 광령리 일대에 산재한 고인돌 중 1기의 덮개돌에서 암각화를 확인했다고 2일 밝혔다.
암각화는 바위에 새긴 그림을 뜻하는 것으로, 발견된 위치는 2003년 발견된 광령리 제1암각화가 있는 곳에서 460여m 남쪽이며 암각화연구소가 국내 선사문화 관련 학술조사를 하던 중에 찾았다.
새 암각화는 가로 214㎝·세로 123㎝·높이 62cm 크기로 동서로 길게 놓인 고인돌의 동쪽 하부 가장자리에 새겨져 있는것으로 알려졌다.
암각화연구소는 "6~7개의 지그재그 형 선각(線刻)과 28개의 바위구멍으로 구성된 비구상형 선각 암각화"라며 "선각과 바위구멍은 규칙성을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이번에 발견된 암각화는 제1암각화, 외도동과 광령리 일대의 고인돌과 더불어 제주도 선사시대 문화활동을 자세히 전해줄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