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적 근거가 있는 계획을 뛰어넘는 ‘상위 계획’으로 ‘옥상옥’ 논란을 불러일으킨 제주미래비전 수립을 위한 용역이 본격 추진된다.
제주특별자치도는 3일 오전 도청 한라홀에서 제주의 미래상을 장기적 관점에서 제시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과제 도출 및 정책 집행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게 될 ‘제주미래비전 수립 용역 착수보고회’를 개최한다고 2일 밝혔다.
착수보고회에서는 제주미래비전 수립 용역 사업자로 선정된 국토연구원 컨소시엄이 과업의 목적 및 범위, 수행계획, 주요 내용 등을 중심으로 추진 계획을 보고하게 된다. 또 시민단체, 관련 부서, 전문가 등으로부터 다양한 의견도 수렴한다.
제주도는 앞서 제주미래비전 수립 용역을 위해 지난해 4차례에 걸쳐 자문회의를 개최해 과업 수행방향, 내용서 및 제안요청서 등에 대해 논의를 진행했다.
제주도는 이에 따라 협상에 의한 제한입찰공고와 협상대상 우선순위 선정을 거쳐 1순위 업체인 국토연구원 컨소시엄과 협상을 벌인 뒤 지난 달 12일 16억9200만원에 용역 계약을 체결했다.
국토연구원 컨소시엄은 오는 11월 11일까지 용역을 마무리하게 된다.
제주도 관계자는 “제주미래비전을 수립하는데 도민이 참여해 아이디어를 제공하고 이를 계획함으로써 도민이 공감하는 최상의 제주 가치를 설정하는 것”이라며 “과업수행 모든 과정에 도민 참여를 극대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제주도는 이를 위해 다음 달 중 (가칭) ‘도민계획단’을 구성하고 주민설명회 및 공청회 3회, 전문가 토론회, 설문조사 5회, 해외 주민설명회 및 국제심포지엄 개최 등으로 도내·외 도민들의 다양한 의견이 반영될 수 있도록 사업을 추진할 방침이다.
한편, ‘제주미래비전 계획’은 지난해 7월 발표 당시 ‘제주특별자치도 설치 및 국제자유도시 조성을 위한 특별법’을 근거로 수립된 최상위 계획인 국제자유도시 종합계획보다 상위 계획으로 추진되는 것이어서 ‘옥상옥’ 지적을 받은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