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05년1월27일 대통령 서명
평화의 섬 발돋음 노력 불구
강정문제 등 어려움 산재
평화 인권지대로 만들어야
키워드는 ‘인권?인종권’
공정하고 균형 잡힌 논의 필요
제주가 ‘세계 평화의 섬’으로 지정된 지 10년이 지났다. 2005년 1월27일 노무현 대통령은 청와대에서 제주도민 대표 등이 참석한 가운데 제주 평화의 섬 지정 선언문에 서명했다. 제주가 국가로부터 세계평화의 섬으로 지정되자 그 동안 제주가 진정한 평화의 섬으로 발돋움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제주평화포럼의 정례화로 평화와 인권의 가치를 다시 한 번 재정립해 왔음은 물론이다.
용서와 화해, 상생의 정신적 가치를 바탕으로 제주4·3 평화공원 조성 사업을 해 왔으며, 북한에 사랑의 감귤보내기 등 남북 협력의 가교적 역할인 교류 협력사업, 저개발국가에 대한 평화봉사 활동 등 개발원조 사업도 추진해 오고 있다. 그러나 강정 마을 문제는 ‘세계 평화의 섬’으로 가는 수레바퀴에 큰 걸림돌이 되어 아직도 평화의 실마리를 찾기에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원희룡 제주도지사는 ‘세계 평화의 섬’ 10주년 기념 메시지에서 “제주의 목표는 세계평화의 섬이면서 인문교류의 중심이 되는 것”임을 표방했다. 북한을 포함해 중국?일본 등 전 세계적으로 인문교류의 저변을 확대해 나가고, 환경?교육?문화?학술 등 교류의 범위도 다변화해 나가겠다고 했다.
그리고 올해 제주4·3 추념식에 대통령 참석을 건의하고, 강정마을의 명예회복과 상처 치유에 대한 노력,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의 가교로써 대북교류 사업 추진, 글로벌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국제교류의 다변화 모색도 약속했다. 그러면서 “새롭게 형성되고 있는 세계 질서 속에서 제주가 평화와 인문교류의 ‘세계적 스탠다드’가 되도록 준비해 나가겠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세계 질서의 변화에 따른 인문교류를 선도하면서 제주 평화와 인권의 새로운 지평을 개척해 나가겠다는 열정을 보였다.
제주 ‘세계 평화의 섬’ 지정 10년, 초심으로 돌아가 그 첫 단추부터 잠깐 살펴나갈 필요가 있다. 정부가 제주를 ‘세계 평화 섬’으로 지정하게 된 것은 4.3 진상 규명과 명예 회복에 대한 방법론적 논의의 과정에서 인권의 가치를 바탕으로 시작되어, 세계 평화 증진 및 확산을 위한 실천사업 지원을 위해 국가적 사업으로 출발했다.
그래서 제주를 평화 협력의 메카인 평화 연구, 평화 운동의 거점 지역으로 만들어 궁극적으로는 한반도의 평화 협력과 동북아로, 세계로 평화 협력을 확산시켜나가기 위한 사업들을 지속적으로 지원할 것을 약속한 국가적 사업이었다. 여기에는 세 가지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부여하고 시작했다. ‘첫째 제주공동체의 역사와 문화를 보존하고 전승하며, 둘째, 세계인의 평화를 위한 제주인의 노력과 협동을 보여주며, 셋째, 세계인이 하나 되는 제주를 만드는 일’이었다.
이제 ‘세계 평화의 섬’ 지정 10주년을 맞아 원희룡 도지사의 ‘제주를 평화와 인문교류의 세계적 스탠다드로 만들겠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도지사의 비전은 ‘평화 인권지대’로서의 ‘세계적 스탠다드’라 할 것이다. 이제 평화 연구, 평화 운동과 관련된 핵심 키워드는 ‘인권’과 ‘인종권’을 바탕으로 논의되고 실천돼야 한다.
생태계와 문화종에 기초하는 인종권을 바탕으로 평화와 인권의 가치를 새로이 구축할 미션으로부터 만들어져야 할 것이다. 최근의 4.3 흔들기, 강정 마을의 깊은 상처는, 태고적의 상상력으로부터 만들어진 사상이나 이상, 그리고 신화와 통찰의 총체인 제주의 인종권을 위협하고 평화와 인권의 가치에 찬물을 끼얹는 것이다. 새롭게 형성되고 변화하는 세계 질서 속에서 그 흐름을 직시하고 서로 간에 조화로운 질서를 구축해 나가야 한다.
우리가 딛고 서 있는 땅덩이를 중심으로 하는 인권적 인종권적 인식이 ‘세계 평화’의 밑그림이 돼야 제주를 ‘평화 인권지대’로 만들어 나갈 수 있다. 통섭의 리더십이 요구되는 시점이기도 하다. ‘세계 평화의 섬’ 10년, 이제 좀 더 공정하고 균형 잡힌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져 평화 인권의 의미와 가치를 새로이 구축하여 제주를 평화 인권지대로 만들어 나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