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마사회가 최근 발표한 ‘경마(競馬) 혁신안’과 관련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급기야 지금 필요한 것은 ‘경마 혁신’이 아니라 마사회의 강도 높은 ‘내부 혁신’이란 주장도 제기됐다.
마사회의 경마혁신안은 한국 경마의 선진?국제화를 표면에 내세우고 있다. 산지통합경주와 레이팅(능력지수)제 도입, 외산마 가격 상한선 상향(5만 달러) 등이 주요 골자다. 혁신안의 전체적인 방향은 경쟁력 강화 측면에서 어느 정도 타당성을 지닌다. 그러나 중장기적으로 심도 있게 검토한 후 시행해야 할 것을 단기간에 졸속(拙速)으로 밀어붙이려다 제동이 걸린 것이다.
예컨대 ‘산지통합경주’는 국산 경주마와 수입 경주마의 분류를 없애 동시에 시합하는 것을 말한다. 아무런 사전 대책 없이 통합경주가 시행될 경우 경주능력 면에서 밀리는 국산 경주마가 구매자들로부터 외면받을 것은 뻔하다. 이는 결국 생산농가들의 도산(倒産)으로 이어지며 국내 말 산업을 뿌리째 뒤흔들 것이란 게 관련농가들의 주장이다.
서울마주협회 비상대책위 등이 성명을 통해 “전시행정으로 급조된 ‘경마혁신안’ 강행을 즉각 중단하고 합리적인 혁신안을 재수립해 줄 것”을 마사회에 촉구한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이들은 ‘경마혁신안’이 방만 경영 및 수년째 지속되고 있는 경마매출 하락에 따른 경영위기 타개를 위한 마사회의 고육지책(苦肉之策)으로 보고 있다.
제주도내 경주마생산농가들의 반응도 다르지 않다. 혁신안 강행은 말 생산농가의 도산뿐만 아니라 정부의 말 산업 육성 목표에도 역행(逆行)되기 때문에 즉각 중단돼야 한다는 것. 특히 제주 출신 현명관 회장이 취임하자 큰 기대를 했는데 지원은 커녕 오히려 생산농가들에게 피해만 주고 있다며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실제로 마사회의 경마혁신안 발표 이후 국내산 경주마 주산지인 제주에서의 경주마 거래는 뚝 끊긴 상태다.
한국마사회는 지난해 국정감사에서도 방만(放漫) 경영과 인사비리 등의 문제를 지적받은 바 있다. 이번 혁신안과 관련 마주협회나 생산농가들이 ‘경마 혁신’ 이전에 ‘내부 혁신’부터 우선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하는지 마사회는 재삼 곱씹어봐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