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거점 산지유통센터(APCㆍ대형선과장)를 중심으로 과수산업 재편을 계획하고 있는 가운데 이에 대한 제주지역의 대응이 미흡하다는 지적이다.
22일 농협제주지역본부에 따르면 거점APC는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등 시장개방으로 파급영향을 많이 받는 과수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지난해부터 실시하고 있다.
과수 주산지역에 규모화ㆍ현대화된 APC 건립을 지원함으로써 소규모 유통시설의 중심축을 만들고 이에 따라 산지의 마케팅 경쟁력을 높이자는 것이다.
특히 FTA기금으로 운영되는 이 사업은 사업규모에 따라 지원단가의 조정이 가능하고 전산처리시설과 비파괴 당도선별기 등 과수 품질관리에 필요한 시설 지원이 이뤄진다.
제주지역의 경우 지난해 제주감귤협동조합이 사업대상자로 선정돼 현재 남원읍 신흥리에 APC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그런데 정부는 거점APC 건립과 관련해 종전 정책사업과 같은 지역별 배분을 지양하고 사업계획 등을 따져 사안별로 지원할 계획이라는 것.
이에 따라 보다 많은 거점APC의 유치를 위해서는 대 정부 설득논리 개발이 요구됨에도 제주지역의 경우 수동적으로 임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제주대학교 고성보 교수는 "APC 사업은 산지유통혁신의 마지막 기회“라고 강조한 뒤 “타 지역의 경우 자자체가 중심이 돼 ‘일반유형’이 아닌 ‘공공유형’으로 APC를 건립하고 운영은 지역농협연합체에 맡기는 방식으로 사업을 활성화하고 있다”며 “그러나 도내 지자체와 농협의 경우 이에 대한 인식이 미진한 실정으로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공공유형은 사업비 전액(국고 50%, 지방비 50%)을 행정에서 지원하는 반면 ‘일반유형’ 사업자가 50%를 부담해야 한다. 제주감협의 APC 건립사업은 ‘일반유형’에 속한다.
그는 또 “지역농협이 사업대상자로 선정되기 위해서는 연합체 구성만으론 부족하고 반드시 별도의 법인체 구성 계획을 내 놓아야 당국을 설득할 수 있다”며 지역농협의 이에 대한 관심을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