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강정 행정대집행 주민 등 24명 연행
[종합]강정 행정대집행 주민 등 24명 연행
  • 고권봉 기자
  • 승인 2015.01.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해군, 용역팀 100명 앞세워 14시간 만에 '종료'...농성장 '아수라장'

제주민군복합형관광미항(해군기지) 건설 현장에서 또 다시 해군기지 건설을 반대하는 주민 등 반대측과 해군간의 충돌이 14시간여 동안 빚어져 아수라장이 됐다.

특히 해군은 국방부를 등에 업고 용역팀을 앞세워 행정대집행에 나섰으며 이 과정에서 강정 주민 등 24명이 경찰에 연행돼 조사를 받았고 이중 12명이 풀려났다.
 
국방부는 31일 오전 7시 25분부터 오후 9시까지 서귀포시 대천동 강정마을 해군 아파트(군관사) 건설 현장 앞에서 농성 천막과 차량 등을 강제로 철거하기 위한 행정대집행을 강행했다.

이날 김희석 집행관(소령)은 행정대집행에 앞서 “행정대집행법에 따라 군관사 건설현장 앞에서 무단으로 설치된 불법 방해물을 철거하려 한다”는 집행문을 수차례 소리 내어 읽었다.

강정주민과 반대활동가 등은 전날 밤(30일) 농성장 주변에 나무와 철조망으로 쌓은 방어 시설과 쇠파이프를 연결한 5m 높이의 망루도 만들었으며, 100여 명이 현장을 지키며 강제 철거 저지에 나섰다.

조경철 강정마을회장 등 10여 명은 이날 이른 새벽부터 망루에 올라 행정대집행 세력의 진입을 물리적으로 저지하기 위하여 쇠사슬을 몸에 묶고 강력히 저항했다.

국방부는 강제 철거에 앞서 설득에 나서는 듯 했지만 상황이 여의치 않자, 다른 지역에서 동원한 용역팀 100여 명을 곧바로 투입했다.

행정대집행은 용역팀이 반대측과 몸싸움을 통해 한 명씩 끌어냈고, 나무 방어 시설과 철조망을 철거하는 작업으로 시행됐다.

마을 주민 등 반대측은 상대적으로 나이가 어리고 몸집이 큰 용역팀이 힘으로 누르며 들어오자 손을 쓸 틈도 없이 농성장에서 끌려나갔고, 농성장에 있던 난로 등 각종 집기가 철거되는 과정을 지켜볼 수밖에 없었다.

잠시 소강상태를 보이던 농성장에서 오후 1시 10분께 경찰 병력이 만일의 사태를 대비해 행정대집행에 투입, 나무와 철망으로 쌓은 방어 시설로 들어서자 반대측과 격렬한 몸싸움으로 이어졌다.

이 과정에서 주민 등 10여 명이 고통을 호소하는 등 부상자가 속출하며 119가 출동하기도 했다.

국방부 행정대집행은 부상자가 나오자 중단과 재개를 반복하며 이어졌다.

경찰 병력이 투입되자 오후 2시30분께 농성 천막 주변을 지키려던 주민과 활동가들은 끌려나갔고 천막도 철거됐다.

경찰과 용역팀은 망루와 차량에 대한 철거 작업에 돌입해 3명을 끌어내렸고, 나머지 8명은 극렬하게 저항했다.

이에 경찰은 손 마이크를 통해 내려오도록 설득했지만 저항, 망루 위와 아래에서 대치상황이 지속됐다.

이러한 대치 상황도 오후 8시께 강우일 주교가 현장을 방문해 망루 위에 있는 조경철 회장 등을 만난 뒤 경찰과 면담, 50분 후쯤 망루 위에 있던 이들이 모두 내려오면서 14시간여 동안 지속됐던 행정대집행은 끝이 났다.

해군측은 별도로 반대측이 막았던 공사장 출입구 주변에 도로와 맞닿는 곳까지 펜스를 설치, 인근에 농성 천막 등을 만들지 못하도록 작업을 진행했다.

행정대집행 과정에서 조경철 마을회장 등 24명이 경찰에 연행돼 조사를 받았으며, 이중 12명이 풀려났다.

한편, 이번 해군의 행정대집행 강행은 지역 주민과의 상생 무시는 물론 제주지역 국회의원 3인의 ‘예산통제’ 성명, 제주도와의 협의 등을 무시하는 처사로 비춰져 분노를 사고 있다.

해군의 이번 행정대집행 강행은 ‘지역 주민과의 상생은 없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지기 때문이다.

제5회 한·일 지사회의 참석차 일본을 출장 중인 원희룡 제주도지사는 이날 일정을 앞당겨 오후에 귀국, 대책회의에 나설 방침이어서 마땅한 방안을 내놓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이에 앞서 지난 30일 제주지역 국회의원 3명의 ‘예산통제’ 성명과 그동안 제주도와의 협의 등을 무시하는 처사로 느껴져 앞으로 논란도 예상된다.

이번 군관사 갈등은 애초 해군이 강정마을에 아파트 616세대를 짓는 방안을 마련해 추진했지만 대부분의 주민 반대로 인해 먼저 필수 요원이 거주할 72세대를 올해 안에 강정 마을 내에 건립하기로 하면서 시작됐다.

나머지 544세대의 경우 해군기지가 완공되면 인근 민간아파트를 매입하는 것이지만, 강정주민 등은 주민 동의 없는 마을 내 군관사 건립에 대해 반발, 지난해 10월 14일부터 공사장 출입구를 막으며 농성을 이어왔다.

이 때문에 해군은 지난달 10일부터 이달 29일까지 모두 5차례에 걸쳐 농성천막과 차량 등 농성장을 철거해 달라는 계고장을 보냈다.

해군은 행정대집행의 주체가 될 경우 논란의 소지가 있는 것 등을 고려, 명의를 국방부로 바꿨다.

이와 함께 ‘철거를 위해 육지부에서 데려오는 용역팀 100여 명에 대한 숙박비와 인건비, 교통비 등 행정대집행 비용 8976만원을 강정마을회에 징수하겠다’는 엄포도 놓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