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교육청-학비노조 이견 여전
도교육청-학비노조 이견 여전
  • 박미예 기자
  • 승인 2015.01.2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예산 고려 않은 일방적 요구" VS "일방적 희생 강요 시 총파업"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이 민주노총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 제주지부(지부장 박인수·이하 학비노조)와의 임금 협약 갈등에 대해 입을 열었으나 이견은 여전한 실정이다.

도교육청은 28일 보도자료를 내고 “학비노조와 의견 차이를 좁히기 위해 지난해부터 지속적으로 실무교섭에 임해왔다”고 밝혔다.

이어 “지난해 11월 ‘임금협약 우선요구안’에 대해 노동조합과 협의한 바와 같이 기본급 가등급과 나등급에 포함되는 전 직종 및 급식보조원에게 급식비 8만원을, 급식보조원에게 교통보조비 6만원·장기근무가산금 5만

원을 근무시간에 비례해 지급하겠다는 입장을 유지해왔다”고 주장했다.

도교육청은 1일 8시간 근무를 기준으로 해 하루에 n시간을 일할 경우 처우개선 수당을 n/8으로 지급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따라 하루 7시간을 일하는 급식보조원의 경우 급식비는 8만원이 아닌 7만원(7/8)을 지급받게 된다.

도교육청은 또 “지난달 23일 제22차 실무교섭에서는 장기근무가산금 상한철폐에 대해 학비노조의 요구를 일정 부분 수용해 2016년까지 31만원을 적용하는 추가 수정안을 제시했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비노조는 교육청의 예산과 임금체계를 고려하지 않은 채 협의되지 않은 사항에 대해 일방적인 요구와 태도로 일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학비노조는 반박 자료를 내고 “지난 26일 교육감과의 면담에서 이석문 교육감은 노동조합에게 이해와 양보를 요구했다”며 “10년을 일하든 20년을 일하든 1호봉 수준이어야 하며 밥값마저 차별받는 지금의 현실에서 이해와 협력을 바란다는 것은 말이 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이와 함께 “우리는 파업이 목적이 아니다. 적어도 우리 아이들이 있는 학교에서만은 차별을 없애기 위한 진정한 노력이 있어야 한다”며 “도교육청이 계속해서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일방적인 고통 감수와 희생을 강요한다면 우리는 총파업을 포함한 강력한 투쟁을 전개할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