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희룡 지사가 결국 제주4?3희생자유족회(회장 정문현)에 진의(眞意)를 설명하고 사과했다. 자신의 발언이 ‘희생자 재심사’ 논란을 불러 일으킨지 꼭 3일 만이다.
원 지사의 사과는 26일 항의 차 도청을 찾은 유족회와의 만남에서 이뤄졌다. 원 지사는 “4?3 국가추념식에 대통령을 모시겠다는 의욕이 앞서다보니 관행적으로 말이 나온 것 같다”며 “다시는 절대 언급하지 않겠다”는 취지의 해명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앞서 원 지사는 지난 23일 MBC 라디오 <신동호의 시선집중>에 출연, 4?3추념일 때 대통령이 참석하려면 ‘위패(位牌) 논란’이 정리돼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었다. 위패 논란이란 ‘무장대 수괴급 인사’ 등 4?3희생자로 들어갈 수 없는 사람들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이와 관련 일부 우익 및 보수 진영에서는 지속적으로 이들의 위패 철거를 주장해왔다. 비록 원 지사가 ‘재심사’라는 표현을 쓰진 않았지만 유족회나 새정치민주연합 등의 입장에선 사실상 재심사 의지로 받아들일
수밖에 없던 이유이기도 했다.
원 지사의 사과로 일단 재심사 논란은 수그러질 전망이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개운치 않은 뒷맛도 남겼다. 그것은 바로 공무원 조직의 지나친 개입이다. 이번 건만 하더라도 제주자치도는 보도자료를 통해 “새정치연합이 갈등 재연을 유도하는 논평을 내는 저의가 의심스럽다”며 성토했다. 정치쟁점은 정치로 풀어야 하는데 ‘도지사와 관련된 일’이라고 사사건건 왈가왈부(曰可曰否)하는 것은 오히려 문제를 더욱 키울 뿐이다.
한 가지 덧붙이고 싶은 것은 4?3추념식과 관련 대통령의 참석을 더 이상 ‘구걸’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다. 제주도민들의 자존(自尊)을 위해서라도 이 문제는 숙고해야 한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