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용수의 96%를 지하수에 의존하는 제주지역의 물 부족 문제를 해결해줄 농업용수 광역화사업의 추진여부를 가늠할 현장조사가 내달 초 실시된다.
제주특별자치도는 2016∼2025년까 10개년 사업으로 국비 1760억원·지방비 440억원을 투입해 수원공 108곳 개발, 광역저수조 63곳 조성, 540㎞ 관로 개설 등 농업용수 광역화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도는 사업추진을 위해 지난해 7월 농업용수 광역화사업의 예비타당성(예타) 조사를 신청했고 기재부는 11월 예타조사 대상사업으로 선정하고 한국개발연구원(KDI)에게 예타 조사를 의뢰했다.
이에 따라 KDI는 내달 2일부터 3일까지 광역화사업의 타당성 검증을 위한 제주 현지실사를 벌일 예정이다. 이번 현장실사가 농업용수 통합 광역화사업 추진을 위한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실사단은 성판악의 지하수 시추조사현장과 애월읍 수산저수지, 성읍과 옹포지구의 다목적 농촌용수개발현장, 상예동의 광역화 신설관정 예정지 등을 실사할 계획이다.
기재부는 현장실사 등 7월까지 진행되는 예비타당성 조사결과를 토대로 오는 8월경 사업확정 여부를 발표할 예정이다.
도 관계자는 “가문과 지하수 고갈 등에 의한 농작물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수자원확보가 우선되야 한다”며 “농업용수의 광역급수체계가 구축되면 물 부족 문제의 근본적 해결이 가능하다”고 전했다.
한편 총사업비 500억원 이상이면서 국가의 재정지원 규모가 300억원 이상인 건설사업에 대해서는 예타 조사를 거치도록 규정됐다. 이번 광역화사업은 총사업비 2200억원 중 국비가 1760억원(80%) 투입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