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없는’ 혁신도시 이전 기관 청사신축
‘답없는’ 혁신도시 이전 기관 청사신축
  • 고권봉 기자
  • 승인 2015.01.2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부지 매입비 전액 삭감…사업계획 차질 불가피

제주혁신도시와 기반시설에 대한 관리권이 내달 서귀포시로 넘어올 예정이지만 이전 기관 청사 신축을 지원하기 위한 부지 매입비가 없어 체계적인 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이 때문에 국제교류재단과 재외동포재단의 혁신도시 이전은 부지하세월(不知何歲月)을 보내고 있다.

26일 서귀포시 등에 따르면 현재 제주혁신도시 이전 대상 공공기관은 모두 9개 기관(임직원 822명)으로 이중 국토교통인재개발원, 국립기상과학원 등 2개 기관의 경우 이전을 마쳤고, 올해 연말까지 국세공무원교육원 등 5개 기관이 이전을 끝낼 계획이다.

이중 국제교류재단과 재외동포재단의 경우 사업비 54억원을 들여 혁신도시 내 클러스터 부지 1만2000㎡ 상당을 한국토지주택공사(LH)에 5년 분할해 내기로 하고 올해 매입비 11억원을 책정,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제주혁신도시 토지 분양실적도 지난해 말 현재 기준으로 분양 계획 71만9594㎡(217필지) 중에서 55만9838㎡(195필지)인 77.8%(면적기준)를 보이고 있다.

문제는 이전 기관인 국제교류재단과 재외동포재단의 부지 매입비가 제주도의회와 제주도의 2015년도 예산안에 대한 불협화음으로 인해 올해 매입비 11억원이 전액 삭감됐다는 점이다.

이 때문에 임대 제공하기 위한 사업 계획의 차질은 불가피한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LH는 국토교통부에 서귀포시 서호·법환동 일원에 조성되고 있는 제주혁신도시 기반시설에 대한 준공 인가를 신청한 상황이다.

국토부의 승인이 내달 중에 이뤄질 것으로 예측, 준공 승인이 떨어질 경우 혁신도시의 도로와 공원, 상·하수도 등의 기반시설에 대한 관리권이 LH에서 서귀포시로 넘어오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이를 관리해야 할 서귀포시도 기반 시설에 대한 관리 등을 위해 현재 부서별 점검 사항을 챙기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대해 서귀포시 관계자는 “토지 매입비를 통해 부지가 확보되면 이전 청사 신축이 이뤄질 것으로 보이지만 부지가 해결 안 되면 이전은 어려운 상황에 놓이게 돼 모든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