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입 저조’ 곶자왈공유화재단 ‘무용론’
‘매입 저조’ 곶자왈공유화재단 ‘무용론’
  • 김승범 기자
  • 승인 2015.01.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道 올해 60ha 빼고도 377ha 매입
재단은 8년간 52ha 불과

제주의 허파인 곶자왈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 곶자왈공유화재단(이하 재단) 등이 추진하고 있는 곶자왈 매수사업을 실질적으로 제주도가 전담하며 재단 무용론이 제기되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올해 국비(산림청) 60억원을 투입해 선흘·한경 및 안덕·상창 지역을 중심으로 곶자왈 60ha를 매수할 계획이라고 25일 밝혔다.

도의 곶자왈 매수사업은 2009년부터 추진되고 있는 사업으로 지난해까지 5년 동안 국비 288억원이 투입돼 모두 377ha의 곶자왈이 매수됐다.

곶자왈 매수사업은 곶자왈공유화재단에서 추진하고 있는 곶자왈 매입사업과 일정부분 중복되면서 담당업무를 재편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재단의 곶자왈 매입이 당초 목표에 10%에도 못 미치고 있어 ‘재단의 역할 무용론’에 더욱 힘이 실리고 있다.

2007년 출범한 곶자왈공유환재단은 출범 당시 10개년 계획으로 360억원을 모금해 내년까지 660ha(약 200만평)의 곶자왈을 매입키로 했다.

그러나 재난 출범 8년 동안 매입한 곶자왈은 당초 목표에 7.8%에 불과한 52ha(15만7700평)에 그치고 있으며, 모금액도 10% 수준인 37억원에 불과해 제주도의 1년 사업규모에도 못 미치고 있다.

이에 따라 일각에서는 매수사업은 제주도에서 전담하고 재단은 곶자왈의 중요성 홍보와 교육부분만 담당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도내 환경단체 관계자는 “재단이 곶자왈 매입의 범도민적 민간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출범했지만 적극적인 모금을 하지 못해 지금까지 사업추진 성과가 미미하다”고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제주도가 매수한 실적까지 포함해 발표하는 등 재단 성과발표는 생색내기용 성격이 짙다”며 “차라리 매수사업은 도 위주로 하고, 재단은 홍보나 교육 등을 담당하는 쪽으로 재편하는 것도 방법 중 하나”라고 말했다.

한편 제주도는 2009년부터 2023년까지 1187억원을 투입해 사유곶자왈 950ha를 매수할 계획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