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가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제주본부 논평을 통해 지적한 ‘갑질 인사’에 대한 해명에 나섰다.
제주특별자치도는 23일 보도자료를 통해 “제주도 본청도 인력 부족의 어려움을 행정시와 함께 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해명했다.
도는 상반기 인사시 도에서 행정시로 전출된 인원은 44명이고, 행정시에서 도에 전입한 직원은 84명으로, 도에 40명이 더 전입됐다고 1대 1 인사교류 원칙이 지켜지지 않았다는 점을 인정했다.
이어 가운데 15명은 행정시 관할이던 어업지도선 업무가 도로 이관되면서 정원도 자동적으로 이관된 것으로, 순수 도 전입인원은 25명이라고 밝혔다.
또 지난해 255명을 공개채용해 행정시에 231명을 배정해 인력을 충원했음에도 급증하는 육아휴직과 명예퇴직 등으로 도와 행정시 모두 결원이 많은 실정이라며 130명이 휴직함에 따라 현재 122명이 결원됐다고 설명했다.
도는 그동안 채용하는 신규 공무원은 행정시에 초임 발령하고, 정책기능을 주로 수행하는 도는 행정시의 경력 공무원을 전입 받는 체제로 인력을 운용해 왔다며 이는 행정시 6, 7급을 도에서 순 전입 받으면 도에 전입된 결원수 만큼 행정시에 근무하는 9급은 8급으로, 8급은 7급으로 7급은 6급으로 각각 승진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어 앞으로 신속한 충원이 이뤄지도록 공개채용 인원을 확대하고 타 시도에서 우리 도에 전입을 희망하는 경력직 공무원 전국 공모 등으로 외부전입을 받는 등 인력수급에 최선을 다해 신속히 결원을 보충하겠다고 전했다.
또 행정시에서 6, 7급 공무원의 순수 도 전입과 관련해 직급간 인사적체 등의 형평성을 제기하지 않는다는 협의가 이뤄지면 앞으로 7, 9급 공무원을 도에서 공채 등으로 자체 충원해 인력을 운용해 나가는 방법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