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곶자왈공유화재단 지난 8년 뭐했나”
“곶자왈공유화재단 지난 8년 뭐했나”
  • 박민호 기자
  • 승인 2015.01.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360억원 모금 목표 내년 시한인데 실적 37억 불과
재단 지가상승 핑계만…행정도 1억 지원 등 무관심
▲ 제주의 곶자왈 <제주매일 자료사진>

제주의 허파인 곶자왈을 개발 위기에서 보호하고, 자발적인 기부·기증 운동을 통해 삶의 질 향상과 가치 있는 자연을 보호하기 위한 곶자왈공유화운동이 행정당국의 무관심과 재단의 안일한 운영으로 난항을 겪고 있다. 출범 8년이 지났지만 곶자왈 매입 사업은 당초 목표에 10%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행정당국의 적극적인 대책마련이 필요해 보인다.

 제주의 곶자왈을 개발 위기에서 지키기 위해 2007년 출범한 곶자왈공유화재단은 출범 초기 ‘곶자왈한평사기 범도민추지위원회’를 구성, 제주 곶자왈에 관심을 유도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재단은 ‘곶자왈 한 평 사기 운동’을 세계적인 환경보전 공공신탁 모델을 만들겠다는 야심찬 계획을 발표하면서 오는 2016년까지 사유곶자왈 200만평(661만1570㎡) 매입을 하겠다고 선언했다.

 곶자왈매입 10개년 계획에 따르면 우선 2007년부터 2009년(1단계·확산기)까지 사업 기간 동안 90만평(년·30만평)을 매입하고, 2010년부터 2012년(2단계·안정기)까지 50만평(년·16만700평), 그리고 2013년부터 2016년(3단계·재도약기)까지 60만평(년·15만평)을 매입키로 했다. 이를 위한 모금액은 360억원이다.

 재단 출범 8년여가 흐른 지금 재단이 매입한 토지는 당초 목표에 7.8%인 15만7708평(52만1349㎡)에 그치고 있다. 목표 모금액도 10% 수준인 37억원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당국의 관심도 부족해 2013년 수산곶자왈 매입(10만평) 당시 1억원을 지원한 것 외에 이렇다 할 지원도 없는 상황이다.

 이 같은 상황을 인지한 재단 역시 조만간 이사회를 열고, 당초 목표를 수정하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재단 관계자는 “출범 당시 곶자왈 평당 가격은 1~2만원 수준이었지만, 중산간 지역 개발 열풍으로 지금은 평당 10만원을 넘고있다”면서 “때문에 오는 3월 말 이사회를 열고, 당초 계획을 수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10개년 계획을 불과 1년여 남은 상황에서 목표 달성은 사실상 불가능한 상황, 때문에 곶자왈 토지 매입·모금 계획 수정 등 곶자왈공유화 운동 전반에 대한 재검토는 불가피해 보인다. 일각에선 재단이 적극적인 모금 프로그램을 마련, 국민적인 관심을 이끌어 내야 한다는 지적이다.

 도내 환경단체 관계자는 “출범 당시보다 곶자왈 지역 토지가격이 인상 부분도 있지만, 재단이 적극적인 모금 운동을 하지 못한 것도 곶자왈 매입이 지지부진한 원인”이라며 “앉아서 받는 모금이 아닌, 재단 스스로 시민들에게 다가가는 모금 운동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