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7급 데려와야 행정시 8.9급 승진...6월 신규 직원 200명 충원 계획중"
22일자로 단행된 제주특별자치도의 2015년 상반기 정기인사가 ‘행정시 인력 빼가기’ 논란에 휩싸였다.
지난해 8월 시행된 정기인사에서도 같은 문제가 지적된 바 있어 이런 양상이 고착화하는 모습이다.
이번 인사를 보면 제주도는 행정시로 59명(제주시 28·서귀포시 31명)을 보낸 반면, 행정시에서 제주도로 전출한 인원은 92명(제주시 52·서귀포시 40명)이다.
제주도와 행정시간 ‘1대1 (교류)인사원칙’을 놓고 볼 때 제주시는 24명, 서귀포시는 9명의 결원이 생긴 것이다.
앞서, 지난 해 8월 정기인사 당시에도 제주시에서 제주도로 자리를 옮긴 6급 이하 직원은 30명이지만 제주도에서 제주시로 이동한 직원은 14명에 불과했다.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제주지역본부 제주시지부·서귀포시지부는 이에 따라 22일 성명을 내고 이번 인사에 대해 ‘일 중심의 인사’가 아닌 ‘갑(甲)질 인사’라고 규탄했다.
이들은 “인력을 빼앗는 원인을 자체 분석한 결과 우후죽순으로 생겨나는 각종 한시기구(TF팀)의 전담인력에 투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결국 자체 인력으로 충원되지 않고 행정시 직원들이 한시기구에 동원되는 ‘갑질 인사’에 매도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제주도지사가 행정시 권한강화를 말로만 할 것이 아니라 제주도정원조례에 규정된 행정시 인력을 하루빨리 귀속시키는 한편, 권한이양에 앞장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제주도 관계자는 이에 대해 “이번 인사에서 어업지도선 15명(제주시 9·서귀포시 6명)이 제주도 소속이 되면서 차이가 났고, 제주도도 현재 30명이 결원”이라며 “도청에 7급들을 데려와야 행정시 8·9급들이 승진하게 되는 것이어서, 인사 때마다 반복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인력수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오는 6월 신규 직원 200명 충원 계획을 세우고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