툭하면 도지는 '제주 4·3 흠집내기'
툭하면 도지는 '제주 4·3 흠집내기'
  • 제주매일
  • 승인 2015.01.1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것도 ‘병(病)’인가. 잊을만 하면 도지는 ‘제주4·3 흠집내기’. 이번엔 정재근 행정자치부 차관이 그 장본인이다.

정 차관은 최근 4·3평화공원을 참배한 뒤 4·3유족회 간부들과 가진 오찬간담회에서 그동안 보수단체에서 제기해 온 4·3희생자 중 논란이 되고 있는 ‘위패(位牌) 정리’ 문제를 꺼냈다. “4·3추념일에 대통령께서 참석하도록 도와달라”는 유족들의 요청에 대한 답변을 통해서다.

정재근 차관은 “대통령이 참석하려면 논란이 되고 있는 위패는 정리해야 되는 게 아니냐”며 “이달 중 4·3희생자 재심의에 착수하겠다”는 발언을 했다는 것. 더욱이 정 차관은 보수단체들이 문제로 제기하고 있는 4·3희생자 53명의 위패까지 구체적으로 적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제주4·3희생자유족회 등 도내 5개 4·3단체들이 12일 기자회견을 갖고 강력 성토에 나선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이들은 “4·3희생자 재심의에 착수하겠다는 정 차관의 발언에 경악을 금치 못하겠다”며 “이 문제에 대한 해법(解法)은 법률적 검토가 우선이지, 일개 차관이 운운할 사안이 아니”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일부 극우단체에서 제기하고 있는 이른바 ‘불량위패’ 문제는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이미 수차례에 걸쳐 헌법소원과 행정소송을 제기했지만 “희생자 결정에 문제가 없다”는 결론을 내린 바 있다. 특히 4·3희생자 결정은 국무총리가 위원장인 4·3중앙위원회에서 의결된 것으로, 차관이 재심의 운운하는 것은 4·3중앙위 자체를 무시하는 월권(越權)에 다름 아니다.

툭하면 불거져 나오는 ‘4·3 흠집내기’는 제주4·3의 화해(和解)와 상생(相生) 분위기에 찬물을 끼얹는 행위다. 이제 그만 ‘낡은 이념의 틀’에서 벗어나길 바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