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12일 오전 10시 청와대에서 신년 내외신 기자회견을 갖고 국정 3년차 구상을 밝혔다. 이날 회견의 주된 내용은 ‘재도약하는 희망 2015년’으로 집약된다.
박 대통령은 “올해는 전국 단위의 선거가 없는 해로 경제 활력을 되찾고 국가혁신을 위해 국력을 결집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라며 “국민과 함께 희망의 2015년을 만들어 가겠다”고 피력했다. 올해를 ‘경제 재도약’의 원년(元年)으로 삼겠다는 의지를 재천명한 것이다.
이를 위해 박 대통령은 공공·노동·금융·교육 등 4대 부문을 중심으로 구조개혁에 박차를 가해 ‘기초가 튼튼한 경제’를 만들고, 창조경제를 확산시켜 경제의 역동성(力動性)을 회복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또 광복 70주년을 맞아 범국민적 초당적 합의를 이뤄내 평화통일을 위한 확고한 토대를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이같은 기자회견에 대해 여야는 극명한 입장 차를 보였다. 집권당인 새누리당은 “대통령의 경제살리기 의지를 엿볼 수 있었다”며 일단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냈다. 반면에 야당인 새정치연합은 “박 대통령의 불통과 오기만 확신(確信)된 회견이었다”고 혹평했다.
그동안 ‘정윤회 국정개입 의혹’ 파문 등과 관련 시중의 여론은 야권과 마찬가지로 ‘인적 쇄신(刷新)’을 통한 새로운 분위기 전환을 요구해왔다. 하지만 박 대통령은 기자회견에서 “인적쇄신은 없다”고 한마디로 잘라 말했다. 오히려 ‘비선실세’ 논란에 관계된 ‘문고리 3인방’을 적극적으로 옹호했다.
특히 박 대통령은 그간 소통(疏通)이 잘됐다고 강변하기도 했다. 기자회견이 끝난 후 “국민이 듣고 싶은 말은 없었고, 박 대통령이 하고 싶은 이야기만 늘어놓았다”는 푸념이 곳곳에서 나오는 이유다. 이른바 박근혜 대통령의 ‘인적쇄신 없는 전진(前進)’은 결국 새로운 불씨가 될 전망이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