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희생자 며느리들 진료비 지원예산이 전액 삭감되면서 4·3유족회가 반발하고 있다.
제주4·3희생자유족회(회장 정문현)는 8일 구성지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의장과의 면담에서 4·3희생자 며느리 진료 지원 예산 삭감 문제에 대한 조속한 해결을 촉구했다.
이 자리에서 정문현 회장은 “지난해부터 계속된 사업예산을 전액 삭감해 버리면 당장 진료를 받던 며느리들은 어디다 하소연하느냐”며 “더욱이 지난해 8월 유족회한마음대회에 참석한 구 의장이 직접서 조례를 만들어서라도 확실히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는데 올해 예산 전액을 삭감했다”며 불만을 제기했다.
이날 구 의장은 “일단 다른 단체들과의 형평성 문제도 있기 때문에 추경 이외에는 방법이 없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제주도의회가 삭감한 며느리지원 예산은 모두 6억원으로 제주도는 일단 예산 전용을 통해 진료비 지원을 계속하겠다는 방침이지만 사태가 장기화 될 겨우 추가 지원은 장담하기 힘든 상황이다.
제주4·3특별법에 따라 희생자의 배우자, 직계 존비속은 유족 진료비 등 복지혜택을 누리고 있다. 하지만 유족의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희생자의 며느리인 경우 실제로는 제사 봉행, 분묘를 관리하는 등 집안일을 도맡아 하면서도 이들에 대한 배려는 없는 실정이었다.
이에 따라 제주도는 제주4·3특별법상 유족의 범위에 포함 되지 않아 복지 지원 대상에 제외된 제주4·3희생자 며느리에 대해 실질적인 생활에 보탬을 주기 위해 지난해 11월부터 진료비를 지원하고 있다.
제주4·3희생자 며느리 진료비 지원 대상자는 희생자 며느리(자부)중 61세 이상으로 그 대상은 1699명에 이른다.
이들은 도내 진료 지정병원(348개)에서 진료비의 30%(5500원 이하 전액 지원)가 즉시 감면되며, 도외 거주자인 경우 진료비 영수증과 통장사본을 보내오면 계좌로 입금하여 지원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