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서귀포종합사회복지관 신규 건립이 국비 확보를 못 해 ‘제동’이 걸렸다(본지 2014년 9월 16일 6면 보도)는 본지 지적과 관련 결국 서귀포시가 국비 없이 지방비로 추진하기로 했다.
하지만 서귀포시가 신규 종합사회복지관 건립 사업비를 내년도 본예산에 산정하지 못하면서 앞으로 험난한 상황을 어떻게 헤쳐 나갈지 귀추가 주목된다.
서귀포시는 29일 현장 맞춤형 복지를 실현하기 위해 복지 기능과 관련한 시설이 미비한 서부 지역에 신규 건립을 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그동안 서귀포시 지역에서 운영되고 있는 종합사회복지관은 동홍동 1곳과 동부지역 성산읍 1곳 등 모두 2곳이다.
문제는 동홍동에 있는 서귀포종합사회복지관의 경우 1993년부터 동홍동 영세민 아파트 단지 내에 무상임대로 운영돼 서귀포시 전 지역을 담당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 서부지역의 경우 분관 형태로 운영 지원되고 있을 뿐 이곳을 담당하는 종합사회복지관은 없는 상황이다.
그동안 서귀포시는 신규 서귀포종합사회복지관 건립을 위한 사업비를 32억원을 계획하고 정부에 국비 16억원을 지원해달라고 요청해 왔다.
정부는 2005년부터 사회복지관 사업이 지방 이양사업으로 분류됨에 따라 지원할 수 있는 근거 규정이 없다는 이유로 국비지원을 꺼려 왔다.
이 때문에 서귀포시는 내부적 논의 등을 통해 지방비로 서부 지역에 신규 건립할 방침을 세우고 내년도 제1회 추가경정예산을 통해 사업비를 확보할 계획이다.
서귀포시 관계자는 “서귀포 시내권이나 동부지역은 다문화지원센터, 건강가정지원센터 등 복지 기능과 관련한 시설들이 많이 분포됐지만 서부 지역은 미비한 실정”이라며 “관련 예산은 내년도 1회 추경 예산을 통해 확보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제주매일 고권봉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