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특별자치도가 물가 안정과 서민경제 활성을 위해 시행하고 있는 ‘착한가격업소’ 지정 사업이 개인 서비스 요금 안정화에 기여하지만 착한가격업소로 지정된 업체들의 매출액에는 큰 도움이 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제주도는 지난달 18일부터 이달 17일까지 (재)한국자치경제연구원(원장 양우철)에 의뢰, 착한가격업소 140개소와 해당 업소를 이용하는 이용객 360명 등 모두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에 의한 개발방문 면접조사 결과를 23일 내놨다.
이에 따르면 착한가격업소 중 93.4%가 ‘지속적으로 참여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고 향후 가격 인상여부에 대해서도 79.4%가 ‘될 수 있으면 인상하지 않겠다’고 응답했다.
또 착한가격업소 지정이 경영에 도움이 되는 지를 묻는 질문에 66.2%가 ‘매우 도움’ 또는 ‘도움이 된다’고 했지만, 지정 후 매출액에 대해서는 62.5%가 ‘변동 없다’고 답했고 ‘증가했다’는 34.6%에 불과했다.
착한가격업소 이용객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는 착한가격업소를 방문하는 이유가 ‘가격’(24.1%)보다는 ‘맛과 품질’(37.5%)이 우선이었다.
이와 함께 착한가격업소가 물가 안정에 ‘도움이 된다’는 답변이 63.8%, 착한가격업소 지정확대에 대해 ‘찬성한다’가 84.3%, 타인에게 추천의향도 89.1%로 조사됐다.
제주도는 이번 만족도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제도적인 개선 부분은 중앙부처에 건의하고 지방자치단체에서 할 수 있는 것은 내년도 착한가격업소 지원 정책에 우선 반영해 나갈 계획이다.
한편, 착한가격업소는 효율적인 경영을 통해 소비자에게 저렴한 가격으로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개인서비스업(외식, 이·미용, 세탁, 목욕)이며, 안전행정부와 제주도가 공동으로 지정하고 관리한다.
문의=064-710-2511(제주도 경제정책과). [제주매일 이정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