읍면은 증가…市 "보조율 90%로 상향 추진"
제주시 ‘자기주차장 갖기’ 지원사업에 대한 동지역 주민들의 호응도가 갈수록 낮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주택가 주차난 완화를 위한 사업 효과도 제한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17일 제주시에 따르면 이 사업은 단독주택이나 다세대, 다가구주택 소유자가 대문이나 울타리, 화장실, 창고 등을 허물어 주차장을 조성할 경우 시설비용의 일부를 지원하는 것이다.
시설비의 50%(보조율)를 최대 400만원까지 지원한다. 2001년부터 현재까지 1051면 조성을 지원했다.
그런데 최근 들어 동지역 주민들의 사업 참여가 감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3년간 추진실적을 보면 동지역은 2012년 50면, 지난해 39면, 올해 37면 등으로 감소 추세에 있다.
반면에 같은 기간 읍․면지역은 16면, 17면, 35면 등으로 증가세에 있다.
‘자기주차장 갖기’는 골목 주차전쟁이 상대적으로 심각한 동지역에 보다 필요한 사업이지만 주민들의 외면으로 그 취지가 퇴색되고 있다.
주차장 갖기 사업에 시민들의 호응이 적은 것은 자재값 인상 등을 감안하지 않는 등 보조금 지원액이 현실에 맞지 않기 때문이다.
이 사업은 공영주차장 조성(1면당 2000만원)에 비해 비용이 적게 들어 주차장 확보를 위한 효율적인 시책으로 평가되고 있다.
재정여건상 공영주차장 확대에 한계가 있는 만큼 ‘자기주차장 갖기’ 사업 활성화 대책이 시급하다.
이용수 제주시 주차관리담당은 “자기주차장 갖기 사업 활성화를 위해 보조율을 90%로 상향 조정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며 “이와 함께 지원대상도 상가․주택 복합건물 등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제주매일 한경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