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험상품 미흡도 문제 도민 체감도 냉랭 여전
올해 관광객 유치목표인 1150만명을 넘어선 제주가 1200만명 달성을 코앞에 뒀다.
세월호 사고 여파로 위축됐던 내국인 관광시장이 다시 회복되고 중국인을 중심으로 한 외국인 관광객 증가세가 한몫했다. 하지만 일본시장이 극심한 침체에 빠지는 등 외래시장이 중국에 편중돼 있는 숙제는 풀지 못했다.
17일 제주도관광협회에 따르면 올 들어 지난 16일까지 제주를 찾은 관광객은 1183만 6054명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13.0% 증가했다.
이르면 오는 21일께 1200만명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됐지만 전국에 한파가 몰아치고 이로인해 항공기와 여객선 운항에 차질이 빚어져 다음 주 초에나 넘어설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형태별로는 내국인 관광객이 860만 5385명으로 5.0% 성장했다. 지난 4월 세월호 사고 여파로 수학여행단을 중심으로 단체관광객이 급격히 줄었지만 점차 회복, 성장세를 유지했다.
외국인 관광객은 중국인 관광객이 폭발적으로 늘어나면서 41.9% 성장한 323만 669명을 기록하고 있다.
그런데 중국인 관광객이 279만 1895명으로 전체 외국인 시장의 86.4%를 차지, 중국 쏠림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한때 주요 외래시장이었던 일본인 관광객은 9만 4900명에 머물렀다. 지난해 동기 대비 33.1% 감소한 인원으로 10만명대 유지도 어렵게 됐다. 인도네시아와 베트남을 제외한 다른 외래시장 감소세도 여전한 상황이다.
올해 제주관광은 1200만명 돌파라는 가시적 성과를 올리게 됐지만 풀어야 할 과제는 여전히 남겨 두게 됐다. 여행 패턴이 개별 및 특수목적 관광객으로 변화하고 있지만 이를 겨냥한 다양한 체험상품 등이 미흡한가 하면 도민들의 체감도는 여전히 냉랭한 게 현실이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제주도관광협회 관계자는 “다양한 제주여행상품 개발 및 홍보마케팅 사업을 추진 , 관광산업 성장 효과가 도민에게 고루 돌아가는 도민 체감형 질적 성장 기반을 조성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제주매일 진기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