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도민들에게 사회적 자본 육성을 위해 ‘살아 있고 피부로 느낄 수 있는’ 정책, 현장에서 모두가 함께 실천할 수 있는 정책을 마련하기 위한 자리가 마련됐다.
제주특별자치도는 16일 제주대학교 평생교육원 세미나실에서 ‘지역공동체와 사회적 자본 육성방안 정책 토론회’를 개최한다고 15일 밝혔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곽현근 대전대학교 교수는 ‘사회적 자본 관점에서 바라본 지역공동체의 의의와 활성화 방안’ 주제발표를 통해 “사회적 자본은 동네, 도시 또는 국가 같은 사회조직의 시민성 수준으로 간주하고 사회조직의 정치·경제 발전을 위한 선행조건”이라고 밝혔다.
이어진 토론에서 민기 제주대학교 교수는 “제주지역의 사회적 자본 육성을 위해 주민 간 단순한 접촉 보다는 공적 문제에 대한 상호 토론기회를 많이 제공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또 “제주사회의 동네 또는 읍·면을 중심으로 하는 강한 소지역주의를 극복할 수 있는 노력이 이뤄져야 한다”며 “친족이나 혈연, 학연 등과 같은 강력한 개인 간의 유대관계 보다는 2차적 집단을 중심으로 맺어지는 사회구성원 간의 약한 유대관계가 제주사회의 응집력을 유지하고 공적문제의 참여성을 높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사회적 자본 육성을 위해 민간·시민사회단체·학계 및 행정(공공부문)이 참여하는 사회적 자본 육성위원회의 설치와 시민사회와 학계가 중심이 되고 공공부문이 지원하는 사회적 자본 육성계획의 수립이 우선돼야 한다”고 제언했다.
도는 앞으로 사회적 자본 육성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도민 공감대 및 인식제고를 위해 도내 전문가·시민사회단체 등과 함께 TF팀을 구성해 ‘사회적 자본 육성 5개년 기본계획’을 마련하고 시행할 계획이다.
[제주매일 김승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