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도심 공동화학교도 정원 초과

내년도 누리과정 어린이집 예산이 일부만 확보되면서 올해 유치원 지원자 수가 지난해보다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해 미달됐던 구도심 공동화학교 병설유치원을 포함해 제주시 지역 대부분 유치원의 경쟁률이 1~3배 상승했다.
도내 유치원들의 원서접수와 추첨이 최근 모두 마무리된 가운데 2015학년도 유치원 신입생 지원 현황을 분석한 결과, 제주시 관내 총 73곳의 유치원 중 63곳의 지원자가 지난해보다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공립 가운데는 삼화초 병설이 지난해 2.4:1에서 올해 7.4:1로 3배 가까이 늘었다. 병설유치원 중 가장 높은 경쟁률은 보인 곳이기도 하다.
인화초와 삼양초·아라초·영평초·하귀초·물메초·재릉초 병설 등도 2배이상 지원자가 증가했다.
특히 올해는 유치원 쏠림현상을 반영하 듯, 제주남초와 제주북초·일도초 등 구도심 공동화학교 부설 유치원의 지원자 수도 정원을 초과했다. 지난해 모두 미달됐던 곳들이다.
사립 유치원들의 경쟁은 더 치열했다.
제주까리따스유치원이 지난해 6.13:1에서 올해 8.5:1로 공·사립 유치원 전체에서 가장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고, 제주국제대부속유치원 5.4:1, 제주한라대부설유치원이 4.43:1, 전원유치원 3.07:1, 제주관광대부속유치원과 제주엔젤유치원 2.9:1, 새순유치원 2.4:1 등으로 나타났다.
정숙심 제주도교육청 유아교육담당 장학사는 "지원 횟수에 제한이 없어 경쟁률 자체에 허수가 포함돼 있다"면서도 "올해는 거의 모든 유치원에서 경쟁률이 상승했다는 점에서 어린이집 예산 확보 난항에 따른 유치원 쏠림현상이 있었다고 볼 수 있다"고 평가했다.
한편 제주도교육청은 현재까지 내년도 누리과정 어린이집 보육 예산 7개월분의 잠정 확보한 상태다.
[제주매일 문정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