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개 과제 선정·806억원 투입

타·시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제주의 대중교통 분담율을 끌어올리기 위한 대중교통체계 개선이 추진된다.
제주특별자치도는 대중교통 개선 16개 과제를 선정하고 총 806억원의 사업비를 투입, 내년부터 오는 2018년까지 3개년 사업으로 대중교통 체계를 획기적으로 개편한다고 15일 밝혔다.
현재 제주도의 대중교통분담율(버스)은 18.9%로 타 시·시도에 비해 낮은 편이다. 지역 여건상 지하철과 전철(기차) 등이 있는 육지부와 단순비교는 힘들지만 버스만 놓고 보며 서울시 27.4%, 대전광역시 23.1% 등과 비교해 낮은 수준이다.
특히 제주의 자가용보유율은 세대당 1.5대(전국평균 0.96대)로 전국 최고의 자동차 보유수준(율)으로 인한 도로 정체 및 환경오염 등도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와 함께 신도시 개발 등 정주여건의 변화와 함께 귀농·귀촌 인구의 증가로 읍면지역 거주자의 대중교통 욕구와 올레길, 사려니숲길, 한라산 등반 등 개별관광 수요에 대응하지 못하고 있는 점도 대중교통체계개편에서 반영해야 할 과제다.
이 같은 상황을 반영해 제주도가 발표한 ‘대중교통 개편계획’에 따르면 빠르고 안전한 대중교통을 위해 ▲지선, 간선, 순환형 버스 노선체계 개편 ▲급행 노선제를 신설해 운영한다. 또 ▲마을버스 도입 ▲버스전용차로제 도입 ▲환승 정류장(센터, 주차장) 설치도 추진한다.
이와 함께 대중교통 운영시스템 선진화를 위해 ▲대중교통보조금 제도 개편 ▲시내·외 버스요금 체계 개선 ▲제주형 교통카드 도입 ▲공영버스 지방공기업 설립 검토 등을 추진한다.
아울러 도내 버스업체의 영세성으로 인한 비효율적인 경영수익구조 등 대중교통의 각종 개선과제를 노·사·정간 인식을 같이하면서 업무협업체계를 통해 획기적으로 개편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는 협업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이날 도청 삼다홀에서 버스업계 등과 대중교통체계 개편을 위한 기본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의 주요 내용은 ▲시내·외 버스 노선체계 지선·간선·순환형 등 이용자 중심 전면 개편 ▲시내·외 버스 노선체계 개편은 도에서 행사하되, 참여업체와 협의, 참여업체 권리 최대한 보장 ▲운송수입 투명화, 적정운송원가 산정해 운송수입에 따라 지원하는 새로운 대중교통보조금 제도 도입 ▲운수종사자의 보수, 근로여건을 단계적 개선, 도민에게 안전하고 편리한 대중교통 서비스 제공 등이다.
도 관계자는 “오는 2018년까지 대중교통체계 개편이 완성되면 지난 2012년 기준 18.9%에 그쳤던 버스 분담율이 22%대로 증가할 것”이라며 “버스 이용객도 지난해 5100만명에서 6000만명으로 늘려나가고, 버스업계의 경영개선과 근로자의 근로여건 개선 등 선순환 구조가 정착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전했다.
[제주매일 김승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