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에서 앞으로 대규모 개발사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우선 도민고용과 지역농산물·지역업체 이용 등 지역환원에 대한 세부적인 계획과 이행이 충족돼야 할 전망이다.
14일 제주특별자치도에 따르면 민선6기 출범이후 개발사업에 대한 투자이익이 도민에게 돌아갈 수 있도록 개발사업에 대한 인·허가와 변경승인 조건 등을 강화하고 백통신원 제주리조트와 신화역사공원 등에 이를 적용시켰다.
이에 따라 이들 개발사업이 내건 도민환원 조건이 향후 추진되는 사업의 ‘기본 가이드라인’이 될 전망이다.
도는 백통신원 제주리조트와 신화역사공원 변경 승인시 운영인력의 80% 이상을 도민 위주로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균형적인 고용, 지역대학(경상, 어문 관광, 사회과학 계열 등)과 사업장 운영시 고용분야에 대한 전문인력 양성협약, 산학프로그램 운영 등 도민 우선 고용계획을 수립해 시행하도록 했다. 도는 도민고용과 관련해 정기적으로 점검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또 건설공사에는 지역 건설업체가 50% 이상 우선 참여한다.
이와 함께 지역주민과 행정기관, 사업시행자, 투자자로 구성된 상행협의체를 구성·운영을 주문했다. 협의체 구성을 통해 지역 농축수산물 계약재배를 유도하고 노인회·청년회·부녀회 등의 자생단체에 대한 사업장 부대서비스 참여방안을 강구한다는 것이다.
도 관계자는 “개발사업에 대한 투자이익이 도민에게 돌아갈 수 있도록 최대한 노력 하겠다”며 “도민환원 조건을 앞으로 추진되는 모든 개발사업에 적용될 예정이며, 이행하지 않을 시 사업자가 사업을 추진하는데 어려움이 많을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제주도가 지난달 발표한 관광개발사업장 실태조사에 따르면 개발사업장의 도민고용은 대부분 비정규직이며, 지역 농수축산물의 구매는 50%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36개 사업장 중 16개소가 지역건설 참여율이 50% 미만인 것으로 조사됐다.
[제주매일 김승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