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관아 8484·항몽유적 516명 방문
이런 상태라면 차라리 문 닫아라"
"목관아 8484·항몽유적 516명 방문
이런 상태라면 차라리 문 닫아라"
  • 박민호 기자
  • 승인 2014.12.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고태민 의원 "문화재 연계 구도심 개발 신경쓰지 않는 것 같다"지적

한해 280만명의 외국인 관 광객들이 제주를 방문하고 있 지만 정작 제주의 문화유적지 를 방문하는 관광객 수는 미 미한 것으로 나타나 제주의  역사와 전통을 알릴 수 있는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제주특별자치도 예산결산 특별위원회(위원장 좌남수)는  9일 회의를 속개해 제주시와  서귀포시가 제출한 내년도 예 산안심사를 이어갔다.

이날 고태민 의원(새누리 당, 애월읍)은 “올해 280만 명의 외국인 관광객이 제주 를 찾고 있지만 제주목관아 지는 8434명, 항몽유적지는 516명 방 문에 그치 고 있다”면 서 “원도심  살리기에는  580억원의  예산을 반  하 면 서  문화유적지 와 연계한 관광은 신경 쓰지  않는 것 같다”고 지적했다.

고 의원은 그러면서 “이 같 은 문제는 행정이 문화재 복 원에만 몰두하고 이와 연계 한 구도심 개발에는 신경 쓰 지 못했기 때문”이라며 “이런  상태라면 차라리 이들 시설의  문을 닫아라”고 목소리를 높 다. 

고 의원은 “관광활성화 를 위해 2011년 항몽유적지  종합계획을 보면 역사 재현  및 트레일 코스 개발을 하도록 했다”면서 “하지만 이런 사 업들에 대한 예산이 반되지  않고 있다. 이는 행정에서 관 심이 없다는 것”이라고 강조 했다.

이에 대해 오남석 제주시문 화예술과장은 “문화유적지의  경우 학생들의 교육장소로 활 용되고 있다”면서 “항몽유적 지의 경우 지난달 전문가 의 견을 반, 지금 발굴 조사가  진행 중이다. 

조사가 끝나면  활용방안을 마련해 나갈 것” 이라고 말했다. 2011년 사업비 4억7000만 원을 투입된 제주시 공공자전 거 운 문제도 지적됐다.

이날 김황국 의원(새누리 당, 용담1“2동)은 “제주시 내 6곳에서 운 중인 공공자 전거를 이용하기 위해선 시 청 방문“등록“반납 등의 불편함이 많다”면서 “이를 해결 하지 않고는 활성화되지 않는 다. 

표선면에서 운 중인 휴 대폰 인증 방식의 시스템을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그러면서 “자전 거 도로를 늘리는 등의 전시 행정적인 사업비 투입도 좋지 만 시민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것도 중요하다”면서  “보다 안전한 시설은 만들고  이용이 불편한 부분에 예산을  반하는 게 행정의 역할”이 라고 강조했다.

박재철 제주시부시장은 “공 공자전거의 전국적인 성공사 례를 돌아보며 벤치마킹을 해  왔다”면서 “내년에 이와 관련 된 예산이 반됐기 때문에  불편한 사항들을 개선해 나가 겠다”고 답했다. [제주매일 박민호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