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당교사들 "실질적 진로교육…지역사회 도움 절실"


'자유학기제'가 본 취지대로 아이들이 꿈을 찾는데 도움을 주는 제도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학교 현장에 다양한 진로체험 장소와 교육을 제공하려는 지역사회의 협조가 전제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8일 황우여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과 원희룡 제주도지사, 이석문 제주도 교육감 등이 올해로 2차년도 자유학기제 시행에 들어간 서귀중앙여자중학교(교장 김후배)를 방문, 학교 관계자들과 간담회를 가졌다.
이 자리에서 담당 교사들은 자유학기제의 방점은 아이들이 꿈을 찾기 위한 경험을 제공하는 데 있다고 강조하며 아이들이 다양한 곳에서 진로체험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지역사회의 협조가 절실하다는 데 입을 모았다.
한상희 교사는 "어렵게 진로체험 장소를 발굴해도 현장에서는 단순 기능 익히기 이상의 교육적 활동을 기대하기 힘든 경우가 많다"고 어려움을 토로했다.
한 교사는 "지난 2년 수업을 진행해보니 이제는 아이들을 키우는 곳이 학교만이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며 "학생들의 진로체험 활동이 언제든 자유롭고 지속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지역사회가 단순 업무 협약을 넘어 적극적으로 교육에 지원하겠다는 인식을 가져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향춘 교사도 장소 섭외의 고충을 이야기했다.
박 교사는 "실제 방문처와 약속을 잡다보면 일정과 인원수를 맞추기가 상당히 힘들다"며 "보다 적극적인 도움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에대해 황우여 교육부 장관은 "자유학기제 운영에서 가장 핵심적인 지적이 나왔다"며 "지역의 협조가 자유학기제의 성패를 좌우한다. 공공기관 등 사회 전반에서 학교의 지원 요청에 답을 해줘야 할 때"라고 공감을 표했다.
원희룡 제주도지사도 "과거에 제주는 말을 키우는 곳이었지만 지금은 뛰어난 인재를 키우는 곳이 됐다"이라며 "자유학기제와 관련 실용적인 수업이 이뤄지도록 적극 협조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황우여 장관과 교육부 출입기자단 등은 전국 최초로 올해부터 모든 중학교에서 자유학기제를 시행하고 있는 제주를 방문, 2013년부터 자유학기제를 시범운영한 한라중학교와 서귀중앙여중에서 참관수업을 한 뒤 관계자들과 간담회를 가졌다.
'자유학기제'는 2016년부터 전국 모든 중학교에서 전면 시행된다. [제주매일 문정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