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희룡 제주특별자치도지사가 관행적으로 이뤄져온 제주도의회의 선심성 예산 증액이 없어지도록 예산 관련 정보와 절차를 투명하게 공개하라고 강조했다.
원희룡 제주도지사는 8일 도청 2층 소회의실에서 가진 주간정책회의에서 “예산관련 정보와 절차를 도민에게 투명하게 공개하고 소모적 논쟁을 줄여야 한다”며 “전반적인 예산 관련 시스템을 점검해 도민들이 충분히 납득할 수 있도록 제공해야 한다”고 말했다.
원 지사는 이어 “이번 주는 예산국면인 만큼 실·국장이 나서서 도의회와 대화하고 설득하면서 원칙과 명분 있는 예산심의가 될 수 있도록 힘써달라”고 주문했다.
특히 “선심성 나눠먹기 증액과 새로운 비용 항목을 신설하는 증액 관행은 이제 사라져야 한다”고 당부했다.
원 지사는 “도의회 예산심의 과정에서 집행부의 동의권 행사를 절차적으로 보장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도민의 눈높이에 맞는 철저한 대안을 제시함으로써 올해 예산 심의가 새로운 모범사례가 될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이는 국회의 경우 예산결산특별위원회의 심의 단계에서 증·감액 시 기획재정부의 수용 여부를 묻는 방식을 취하는 만큼, 제주에서도 현재 진행되고 있는 도의회 예결위 심의에서 이를 적용해보자는 뜻으로 해석돼, 도의회가 어떻게 받아들일 지 주목된다.
원 지사는 또 “최근 제주에 대한 중국 언론의 오보성 비판 보도가 나오고 있다”며 “중국 내 동향을 철저히 파악해 상시적으로 취합하고 대응 메시지를 공식적으로 내보내는 체계를 갖춰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와 함께 “일본 엔저현상으로 일본인 관광객이 급감하고 있다”며 “해당 부서별로 긴급회의를 열어 일본인 관광객 유치계획 재수립 등 대응책을 마련하라”고 지시했다. [제주매일 이정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