삭감 예산중 상당 부분 '의원 몫'…향후 논란 전망
제주특별자치도의회가 상임위원회에 제출된 내년 예산에 대한 계수조정을 실시, 347억원을 재편성 했다.
논란이 됐던 협치위원회 운영 예산과 예산 편성 과정에서 문화협치준비위 일부 위원들의 입김이 작용했다는 의혹이 일고 있는 문화예술 사업비 등은 대폭 삭감했다.
문제는 이렇게 삭·감액된 예산 중 상당수가 의원들의 지역구 예산으로 흘러들면서 향후 적잖은 논란이 예상된다.
상임위원회별로 살펴보면 행정자치위원회가 21억2800만원, 보건복지안전위원회 21억3588만원, 환경도시위원회 88억8300만원, 문화관광스포츠위원회 80억7500만원, 농수축경제위원회 135억2325만원 등이다.
주요 감액 내역을 보면 도지사 지지율 조사 의혹이 일었던 도정여론조사비 1억원 중 8000만원이 감액됐으며, 협치위원회 민간위원수당(2000만원)과 협치위원회 활동보고서(800만원), 협치사례조사(800만원) 예산은 전액 삭감됐다.
또 제주·서귀포시 미집행 도시계획시설 타당성 검토용역비 6억원(각 3억원)이 전액 삭감됐으며, 문화협치준비위원회 위원 개입 의혹이 제기됐던 원도심 공공미술 프로젝트 2억원과 제주문화콘텐츠 엑스포 사업지원 3억원은 전액 삭감되고, 프린지페스티벌 육성지원 1억5000만원중 8000만원이 감액됐다.
이외에도 제주문화예술재단 운영비 6억원 중 2억원이 감액됐다. 특히 매년 10억원 으며, 출연금 30억 중 20억원을 감액했으며 제주어 보전예산 24억8000만원 중 18억원이 감액됐다.
이렇게 삭·감액된 예산 대부분은 지역구 예산으로 재배정되면서 논란이 예상된다.
500만원의 예산이 편성됐던 A동 자생단체의 경우 지원 사업비 명목으로 1000만원이 추가 증액됐으며 특정 운수단체의 선진지 견학 및 단합대회 명목으로 수천만원의 예산이 신규로 증액됐다.
제주도의회는 지난 3일 오후 늦게까지 상임위원회별로 계수조정을 마무한 결과, 모두 347억4513만원이 재조정됐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518억9000만원과 비교하면 67% 수준이다.
한편 내년도 제주도 예산안 총 규모는 3조8194억600만원으로 올해 3조5824억7400만원보다 2369억3200만원(6.6%) 증가했다. [제주매일 박민호 기자]